G05-7182802122

그래프속이야기

은행권, 가계부채 고삐 죄자 중금리대출부터 잠궈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5-07-17 15:39 KRX8
#중금리대출 #주담대 #627부동산규제 #중저신용자 #대출규제
NSP통신-자료 은행연합회 (그래프 = 강수인 기자)
자료 은행연합회 (그래프 = 강수인 기자)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금융당국의 은행권 가계부채 관리 강화 기조에 중금리대출 비중이 8%대에서 6%대로 줄어들었다. 급격히 오른 연체율로 건전성에 대한 경고음이 울린 상황에서 연이어 가계대출을 억제하라는 메시지가 나오자 은행권이 우선 중금리대출부터 줄여나간 영향이다.

17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 5월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중금리 신용대출(연 7% 이상 10% 미만, 잔액기준) 평균 취급 비중은 6.86%로 나타났다. 지난 1월 8.16%를 기록한 이후 2월 7.86%, 3월 7.46%, 4월 7.22%로 꾸준히 감소했다.

지난 1월부터 5월 사이 중금리 신용대출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곳은 하나은행이다. 하나은행의 지난 1월 중금리 신용대출 비중은 9%, 5월 중금리 신용대출 비중은 7.2%로 1.8%p 감소했다.

G03-9894841702

같은 기간 우리은행은 6.3%에서 4.7%로 1.6%p 줄었고 KB국민은행은 8.4%에서 7%로, NH농협은행은 6.3%에서 5.2%로 감소했다.

중금리 가계대출로 넓혀봐도 1월부터 5월 사이 평균 2.30%에서 1.76%로 줄었다.

이같은 감소세는 연초부터 시작된 은행권의 가계부채에 대한 금융당국의 관리 강화 기조에서 시작됐다.

당국은 연초부터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를 경상성장률(3.8%) 이내로 관리하고 은행권의 가계부채 증가율을 1~2% 수준으로 설정해 관리해왔다.

그러나 지난 2월 서울시가 잠실, 삼성, 대치, 청담 내 14곳의 재건축 단지를 제외한 291곳의 아파트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한 뒤 집값이 급등했다. 이후 서울시가 토허구역을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로 재지정하자 마포·성동·강동구 등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 1월 4762억원 감소에서 2월 3조원대로 뛰기 시작해 5월 4조 9964억원으로 급등했다.

이후 정부에서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발표되고 당국은 은행권에 강도 높은 대출 관리를 당부했다.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에는 전금융권의 가계대출(정책대출 제외) 총량목표를 올 하반기부터 당초 계획 대비 50% 수준으로 감축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후 5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증가세는 6월 6조 7536억원으로 급증했다.

한편에서는 은행권의 자산건전성에 대한 압박도 들어왔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원화대출 연체율은 0.57%로 전월말 대비 0.04%p 증가했다. 1년새 0.09%p 상승한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0%로 전월 대비 0.01%p 올랐고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 연체율은 0.86%로 전월말 대비 0.07%p 상승했다.

이처럼 고금리 장기화에 연체율이 오르는 상황에서 대출 총량을 줄여야하는 은행권은 중금리대출을 줄이는 방향을 택했다.

문제는 이같은 방향 전환으로 중·저신용자들이 제도권 밖으로 밀려날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다. 저축은행 역시 6·27 규제 이후 대출 승인액이 급감한 가운데 금감원이 연내 연체율을 5~6% 수준으로 낮추라는 주문을 해 저신용자를 받을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제1금융권 은행도, 저축은행도 중금리대출을 예전처럼 취금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건전성을 챙기면서 대출도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금융사가 택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급전이 필요한 중·저신용자가 1,2금융에서 밀리면 갈 곳은 제도권 바깥밖에 없다”며 “업권의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보다 세밀한 규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