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조현철 기자 = 전국 최초로 스테이션(대여소)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수원시가 민간사업자를 유치한다.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 시스템은 GPS(위치 파악 시스템), 자동잠금해제, 빅데이터 분석 등 첨단 IoT(사물 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자전거 대여·반납 체계다.
GPS가 장착된 자전거는 언제 어디서든 대여·반납할 수 있어 자전거 거치대, 키오스크(무인 정보안내시스템)가 필요 없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주변에 있는 자전거를 검색하고 자전거를 찾으면 자전거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 무선통신으로 잠금을 해제한 후 이용할 수 있다. 이용을 마치면 시내 주요 지점에 있는 자전거 주차공간(노면에 표시)에 세워두면 된다.
무인대여 자전거 사업 의향이 있는 사업자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시는 3000대 이상 운영을 권장하며 민간사업자는 시설 투자 후 대여 사업을 직접 운영해야 한다. 시 재정지원은 없고 운영수익금은 전액 사업자 몫이다.
시는 시 전역에 자전거 주정차 구획을 만들어 사업을 지원하며 사업자는 자전거 주차장 사용요금을 시에 내야 한다.
무인대여 자전거 사업 참여를 원하는 사업자는 자전거 도입 시기, 운영 대수, 이용 요금, 운영 관리 조직·방안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제출기한은 따로 없다.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 시스템을 도입하면 3000대 기준으로 초기시설 구축비 57억 원, 연간 운영비 17억원 등 예산 74억원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치 공고문은 수원시 홈페이지내 공고/고시/입법예고 게시판에서 자전거를 검색하면 볼 수 있다.
김철우 수원시 도로교통관리사업소장은 “자전거 이용이 늘어나면 도시 교통난이 해소되고 저탄소 녹색 성장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국내 무인대여 자전거 사업을 선도할 민간사업자를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NSP통신/NSP TV 조현철 기자, hc1004jo@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