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영덕군, 2026년 본예산안 6136억 원 편성

NSP통신, 조인호 기자, 2025-11-26 17:10 KRX7 R0
#영덕군 #김광열군수 #영덕군의회 #본예산안 #재해

3년 연속 6100억 원대 달성,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에 중점

NSP통신-영덕군은 내년도 본예산을 올해보다 35억 원(0.57%) 감소한 6136억 원 규모로 편성해 지난 21일 영덕군의회에 제출했다. (사진 = 영덕군)
fullscreen
영덕군은 내년도 본예산을 올해보다 35억 원(0.57%) 감소한 6136억 원 규모로 편성해 지난 21일 영덕군의회에 제출했다. (사진 = 영덕군)

(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영덕군은 내년도 본예산을 올해보다 35억 원(0.57%) 감소한 6136억 원 규모로 편성해 지난 21일 영덕군의회에 제출했다.

이로써 군은 지난 3월 말 발생한 경북산불 여파로 재정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공모사업 선정과 지속적인 국가 투자예산 확보로 지난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 연속 6100억 원대 예산을 달성하게 됐다.

또한 모든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 불요불급한 사업은 배제하고 관행적인 행정 경비를 최소화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군민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에 필요한 재원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예산을 구성했다.

G03-9894841702

본예산은 일반회계의 경우 전년보다 123억 원(2.08%) 줄어든 5772억 원, 특별회계는 88억 원(31.73%) 늘어난 364억 원으로 이뤄졌다.

분야별로는 △공공행정과 공공질서 안전, 교육 분야 655억 원(10.7%) △문화·관광 분야 433억 원(7%) △환경·보건 분야 969억 원(15.8%) △사회복지 분야 1379억 원(22.5%) △농림·해양수산 분야 1297억 원(21.1%) △산업·중소기업, 교통·물류 분야 289억 원(4.7%) △국토 및 지역개발 374억 원(6.1%) △예비비와 기타 분야 740억 원(12.1%)이 각각 편성됐다.

이중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삼사해상공원 공유 컨퍼런스센터 건립 33억 원 △지역산업 기반 연구지원센터 건립 17억 원 △풍력 현장 기술 인력 양성플랫폼 구축지원 사업 12억 원 △고속도로 IC 신규 개설 타당성 검토 용역 3억 원 △신재생에너지 분야 연구용역 1억 원 등 지역경제와 신산업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이 포함됐다.

재해·안전 인프라 확충과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선 △도시 침수 예방 사업 112억6천만 원 △자연재해 위험 개선 지구 사업 45억 원 △노후 정수장 개량 사업 66억5천만 원 △노후 상수도 정비사업 56억 원 △읍·면 단위 LPG 배관망 구축 사업 37억 원 등을 편성해 재해·재난 예방과 생활 SOC 인프라를 강화했다.

이어 △동해안 내셔널 트레일 조성 10억 원 △별파랑공원 파크골프장 조성 32억 원 △고래불해수욕장 해안 생태 탐방로 조성 19억 원 △웰니스자연치유센터 및 여명 운영 7억2천만 원 등을 통해 관광산업과 웰니스관광의 성장을 이끌 인프라를 강화하고 △송이 대체 작물 조성 사업 59억 원 △버섯 스마트팜 ICT 융복합 조성 시범 18억 원 △어촌 신활력 증진 사업 127억5천만 원 △수산물 산지 거점 유통센터 건립 23억천만 원 등을 추진해 농산어촌 산업 혁신을 통한 주민 소득 증대와 농산어촌 지역의 정주 여건을 개선하게 된다.

끝으로 저출생·고령화 대응과 지역 소멸 극복을 위해선 △세대이음공간 조성 사업 40억 원 △고독사 예방 스마트 돌봄시스템 서비스 구축 10억 원 △농어촌버스 무료 운행 지원 2억 원 △영덕미래인재양성관 운영 10억 원 △청소년 수련관 운영 2억 원 등을 반영했다.

군 관계자는 “내년 예산안은 군민의 생활 수준을 향상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며 “한정된 재원을 전략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용해 지속 가능한 성장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군민 모두가 행복한 복지 실현할 수 있도록 이바지하겠다”고 전했다.

영덕군의 2026년도 본예산안은 영덕군의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15일 정례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될 예정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