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NSP통신) 김대원 기자 = 경산시(시장 조현일)는 6일 경산시노인종합복지관 일대에서 ‘2025년 재난 대응 안전 한국 훈련’을 실시하며 최근 잇따른 산불로 높아진 재난 대응 필요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이번 훈련은 최근 경북 지역에서 이어진 산불의 영향을 반영해 산불 재난 대응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마련됐다.
특히 경산시노인종합복지관은 하루 평균 1000명 이상의 시민이 이용하는 대규모 시설로 이용객 대부분이 고령층인 만큼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체계 구축이 절실했다.
이에 시는 ‘산불 발생 시 재난 취약 계층 대피 및 건물 화재 대응’을 주제로 실전형 훈련을 펼쳤다.
장애인종합복지관 또한 참여해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대피 동선을 점검하고 안전요원과 시설 관계자의 협업 체계를 강화했다.
이번 훈련에는 경산소방서, 경찰서, 제7516부대 2대대, 대한적십자사, 자원봉사센터 등 9개 기관과 시민체험단 등 260여 명이 참여해 ▲긴급 재난 문자 발송 ▲대피 유도 ▲산불 및 건물 화재 진압 ▲수습·복구 등 단계별 절차를 수행했다.
특히 노인과 장애인의 안전 확보를 위해 대피 동선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긴급 대응체계를 점검했고 이를 통해 재난 취약계층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기반을 확인하며 복지시설 내 초기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산불 대응에는 드론과 산불 진화 헬기를 투입해 방화선 구축과 진압 역량을 강화했다.
경산시는 PS-LTE 재난안전통신망을 활용해 현장지휘부와 상황실 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대응체계를 강화했다. 또한 소방차, 구급차, 산불 진화차, 고소작업차 등 30여 대의 장비를 투입해 훈련의 완성도를 높였다.
조현일 시장은 “이번 훈련은 유관 기관 간 협력체계를 점검하고 산불 발생 시 대응 능력을 강화하며 재난 취약계층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복지시설 중심의 대응훈련으로 매우 의미가 있었다”며 “앞으로도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재난 대응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