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NSP통신) 김광석 기자 = 전북 군산시의회(의장 김우민)는 16일 군산항 1~7부두 일대를 현장 방문하고 관계자와 간담회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방문은 군산항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피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김우민 의장을 비롯한 시의원 일행, 항운노조 관계자 및 ㈜군장신항만 등 군산항 부두 운영사 대표단, 항만해양과장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시의원 일행은 이날 국제여객선터미널을 출발해 ▲1~3부두(잡화 부두) ▲4부두(자동차 전용부두) ▲5부두(자동차·잡화 부두) ▲6부두(양곡·컨테이너 부두) ▲7부두 (잡화·양곡·유연탄 부두)를 차례로 둘러보며 시설별 운영 상황과 당면 과제들을 면밀히 점검했다.
현장 방문에 이어 진행된 간담회에서는 군산항의 오랜 숙원 과제인 ‘수심 부족 문제’가 집중 논의됐다.
항만 관계자들은 “5만 톤급 이상의 대형 선박의 운항을 위해서는 14m의 계획 수심이 확보가 필수적이지만 실제 수심은 이에 크게 못 미쳐 대형 선박 입항 제한돼 있다”고 토로하며 “이는 물류 효율 저하와 항만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군산항은 연간 평균 300만㎥이상의 토사가 퇴적되지만 준설량은 20% 수준인 60~70만㎥에 불과해 1~7부두 전반이 계획 수심에 미달되고 있다. 이로 인해 평택항 등 타 항만에서 일부 화물을 먼저 하역한 뒤 군산항에 입항하는 사례가 빈번하며 대형 선박은 물론 중소형 선박까지도 화물 적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수심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는 금강하굿둑 건설 이후 물의 흐름이 정체되면서 인근 해역에 토사가 지속적으로 축적되며 갯벌이 육지화되고 있는 점이 거론된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금강하굿둑 상류 조간대를 중심으로 염생식물인 지채가 대규모로 자생하는 등 토사 퇴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항만의 수심 유지뿐만 아니라 올해처럼 국지성 폭우가 빈번히 발생하거나 만조시에는 군산 시내 저지대 침수 위험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어 실질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군산항이 ‘해상풍력 지원항만’으로서 갖는 입지적 강점도 소개됐다. 군산항이 입출항에 제약이 없고 배후 산업단지와의 연계성이 뛰어나기에 해상풍력 관련 물류 거점으로서의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는 관계자의 설명이 이어졌다.
이와 함께 5부두 인근 우수 방류관로와 연결된 침사지에 토사가 과도하게 퇴적돼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원활한 우수 배출을 위해 침사지에 대해 조속한 준설이 필요하다는 점도 짚었다.
김우민 군산시의회 의장은 “군산항은 지역 산업과 물류 핵심 거점으로서, 항만 기능의 정상화를 위한 수심 확보는 물론 해상풍력 지원 항만으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철저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군산시의회는 앞으로도 군산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과 정책 건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