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신안군, 압해 해안침식 방지 사업 부실 ‘논란’ 주민 분통

NSP통신, 윤시현 기자, 2025-10-14 13:21 KRX2 R0
#신안군

예산 부족이 미흡 주장 야기...“토사 유실 해양 유입” 지적
임목폐기물 짓이겨 야산 방치, 법면 처리, 피복석 설치 등 눈총

NSP통신-압해 해안침식 방지 사업 지구 (사진 = 윤시현 기자)
fullscreen
압해 해안침식 방지 사업 지구 (사진 = 윤시현 기자)

(전남=NSP통신) 윤시현 기자 = 신안군이 압해도에서 해안침식을 막기 위한 사업이 부실 지적을 사고 있다.

또 예산 부족이 법면처리 등 미흡한 설치를 불렀다는 주장에 따라 충분한 예산확보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계약정보에 따르면 신안군은 압해도에서 해안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야산을 깍아 집입로를 조성하고 방조제를 설치하는 사업을 약 2억 5000여만원을 들여 지난 4월 발주했다.

G03-9894841702

사업은 1900만원의 실시설계 용역과 570만원에 감리용역까지 맡겨 8월에 준공했지만, 피복석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마감하는 등 부실 논란을 사고 있다.

최근 사업지를 찾은 지역민은 임목폐기물이 야산에 뿌리채 짓이겨진 채 방치된 장면을 목격했다.

또 깍아내린 법면 처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아 토사가 배수로를 메우고 배수관로를 따라 해안으로 유입되는 등 문제점을 지적했다.

실제 깍아지른 비탈면에는 잔디 식재나 거적덮기 씨드스프레이 등 기본적인 처리도 없이 마감 준공해 논란을 키우고 있다.

특히 종점의 방조제는 피복석을 방치한 채 공사를 마감해 추가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새로 조성한 도로 폭이 10미터에 달할 정도로 넓게 조성해 산지를 지나치게 훼손한 것도 지적이다.

제보 지역민은 “준공됐다니 믿을 수 없다, 엉터리 절토지역 법면 마감으로 토사가 해안으로 여과 없이 유입되고 있다”라며 “해안 침식을 막겠다는 좋은 취지의 사업이 석연찮은 감독과 감리로 역효과로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일부 주민은 “예산확보로 법면을 충분히 안정화시킬 수 있고, 사업이 연계해서 진행될 수 있도록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신안군 관계자는 “예산 부족으로 법면에 녹화 처리하지 못하고 씨앗을 심도록 했다”라며 종점부 부실 논란에 대해 “연차 사업으로 계속해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고 해명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