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유통 업계동향
롯데·하이트, ‘소주의 날’ 전략차이…NS, ‘푸드페스타’·이디야, ‘찐 상생’·이마트와 배민의 ‘퀵커머스 연합’
(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정하용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의원(국민의힘, 용인5)은 제1차 경제노동위원회의 동의안 및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의에서 주요 사업 추진과 관련해 정책적 문제점을 지적했다.
정하용 의원은 “정부의 ‘계속고용장려금’이 3년간 최대 1080만원(월 30만원)임에도 불구하고 경기도 사업은 월 50만원씩 최대 1800만원을 지급한다”며 “경기도가 사실상 독자적으로 부담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제도의 보완책으로 철저한 효과 검증과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신규사업의 효과성 검증도 없이 기존 사업을 축소하고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배달특급 홍보비가 최근 3년간 매출액과 이용자 수 모두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홍보비만 늘리는 것은 근본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경기도민의 혈세가 투입되는 공공배달앱이 민간앱보다 경쟁력이 떨어진다면 존재 이유를 다시 검토해야 한다”며 “홍보비 증액을 넘어 서비스 경쟁력 강화와 실질적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