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전석훈 경기도의원, 광역자치단체별 ‘AI 전문 공공기관’ 설립·네트워크 구축 제안

NSP통신, 김종식 기자, 2025-08-18 16:10 KRX7
#전석훈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AI강국 #성남시

“대한민국의 인공지능 산업 총괄하는 ‘AI부’ 신설해야”

NSP통신-전석훈 경기도의원. (사진 = 경기도의회)
전석훈 경기도의원. (사진 = 경기도의회)

(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전석훈 경기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남3)은 18일 대한민국의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파격적인 정책을 제안했다.

전석훈 의원은 현장 중심의 접근을 통해 현재의 AI 정책 시스템이 가진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전 의원은 “그동안 12개가 넘는 부처가 제각각 AI 사업을 추진하며 예산 중복과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G03-9894841702

이에 대한 해법으로 대한민국 ‘AI부’ 신설을 제시했다. AI부가 기술 개발부터 산업 적용, 윤리, 인재 양성까지 AI 관련 모든 정책을 총괄하는 명확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ICT 분야를 총괄하듯 AI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한곳에 집중시켜 정책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방안도 덧붙였다.

전석훈 의원은 중앙정부의 ‘AI부’ 신설이 큰 그림이라면 이를 완성하는 것은 지역의 역할임을 역설했다.

전 의원은 “대한민국 AI 3대 강국 도약은 서울과 수도권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 각지에 뿌리내려야 실현 가능하다”라며 각 광역자치단체별 ‘AI 전문 공공기관’ 설립 및 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했다.

특히 전석훈 의원은 판교 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한 경기도의 독보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경기도는 우수한 인재 풀과 풍부한 AI·IT 기업 생태계를 보유한 대한민국 AI 산업의 핵심 동력”이라며 경기도가 자체적인 AI 전문 기관을 설립해 AI 스타트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양질의 데이터와 테스트베드를 제공하며 글로벌 협력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석훈 의원은 “아이들의 미래가 달려 있는 AI 경쟁에서 대한민국이 뒤처져서는 안 된다”라며 “이번 정책 제안을 담은 대정부 질의 및 경기도 관련 조례안 발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대한민국의 AI 미래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석훈 의원은 대한민국에 인공지능 기본법이 없는 상황에서 지난해 ‘경기도 인공지능 기본 조례안’을 전국 최초로 발의해 한국지방자치학회에서 우수 조례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 조성과 산업육성을 위해 왕성한 의정활동을 벌이고 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