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국회는 7월 17일 오전 10시 국회중앙홀에서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을 개최했다.
경축식에는 의장단, 전직 국회의장, 4부요인·감사원장, 7개 원내정당, 헌정회, 제헌국회의원 유족회, 행정부, 지자체, 주한외교사절 등과 맨손으로 장갑차를 막은 김동현 씨 등 12월 3일 계엄 당일 국회 앞을 지킨 시민 5명이 참석했다.
이번 경축식은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 대한민국 국회’라는 슬로건으로 방송인이자 역사학자인 정재환 교수와 김나현 아나운서가 사회를 맡아, 제헌절의 역사적 의미와 헌법의 가치를 국민이 쉽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해설이 있는 경축식’으로 진행됐다.
경축식은 국방부 군악대의 경축 팡파르로 개식을 알린 후, 12·3계엄 사태부터 오늘까지 국민과 국회가 힘을 모아 대한민국을 정상화시켜 온 과정을 담은 인트로 영상이 상영됐다. 이어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이응준 태극기, 임시의정원 태극기, 현재의 태극기 등 총 3종의 태극기를 국방부 의장대 기수단이 들고 무대에 입장하여 국민의례가 거행됐다.
이어 헌법의 소중함을 되새길 수 있는 영상 상영과 함께, 원내 7개 정당의 의원들이 제헌헌법 전문과 총강을 낭독했다. 제헌헌법 전문은 위대한 독립정신의 계승과 민주국가의 의지, 국민생활 향상과 국제 평화 유지, 자유와 행복을 향한 결의 등을 담고 있다. 이번 낭독은 정치적 입장, 성향의 차이를 넘어 대한민국 헌법 아래 국민으로서 신뢰와 애정을 확인하고자 77년 만에 처음 시도된 것이다.
정대철 헌정회장의 기념사 후, 우원식 국회의장이 헌정회원 3인, 제헌국회의원 유족회, 국회사무처 경호기획관실에게 감사패, 김진표 전 국회의장에게 국민훈장을 수여했다. 이후, 국민과 함께 더 단단한 민주주의 길을 가겠다는 다짐을 담은 우 의장의 경축사가 있었다.
이어진 경축공연에서는 그룹 라포엠, 군악대대 성악병과 국민합창단이 역사의 순간들을 함께 해 온 ‘신라의 달밤’, ‘아침이슬’, ‘아! 대한민국’, ‘다시 만난 세계’ 등을 합창했다. 공연 전에는 의장대가 국회박물관·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임시의정원 관인’, ‘신익희 국회의장 개회사’ 등 8종의 소장품들을 국민들에게 공개하기도 했다.
우 의장은 이어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제헌절 경축 오찬에서 前 국회의장단(김원기·임채정·정세균·문희상·박병석·김진표 前 의장), 정대철 헌정회장, 유경현·이경재 감사패 수상자, 윤인구 제헌국회의원 유족회장 등과 함께 헌정 역사와 헌법 정신을 되새기고, 비상계엄 사태 이후 새롭게 맞이하게 되는 시대에서의 국회의 역할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