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NSP통신) 남정민 기자 = 전라남도의 언론홍보비 집행 내역을 들여다보면 이 질문에 답하기 어렵지 않다. 공식 명분은 ‘도정 홍보’지만 실상은 김영록 도지사의 정치적 이미지 관리에 더 가까운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의혹이 아니라 수치와 현실이 증명한다.
최근 수년간 전남도는 매년 50~7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홍보비’로 편성해왔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도지사의 이름이 강조된 발표, 선포식, 영상 콘텐츠 등에 집중됐다.
어떤 방송사는 단일 홍보 콘텐츠에 수천만 원에서 억대 예산을 받았고 반면 도내 중소매체는 예산 책정에서 사실상 배제됐다. 많게는 700배까지 차이가 나는 언론 지원금 기준도 불투명하다.
그 속에서 반복되는 구호 ‘AI 중심지 전남’, ‘블루이코노미’, ‘100억불 수출’은 화려하지만 실속은 없다. 5년이 지나도 뚜렷한 성과 없이 도민의 삶은 여전히 그 자리다. 홍보물은 늘지만 실질적인 변화는 없다. 오히려 도청 내 실무자들 사이에서도 “도지사 비서실 같다”는 자조섞인 비판이 나온다.
문제는 이것이 과거처럼 ‘신문 몇 면’으로 끝나는 이야기가 아니라는 점이다. 스마트폰과 유튜브가 일상이 된 시대, 공공기관의 홍보는 더 이상 특정 언론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남도는 여전히 ‘친정부 언론’ 중심의 방송 편중 구조에 갇혀 있다. 이는 도민을 향한 열린 소통이 아닌 표적 마케팅이자 선별적 메시지 전달에 가깝다.
공공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홍보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구조는 도정 감시 기능을 무력화시키고 홍보를 감시가 아닌 협찬의 대상으로 전락시키고 있다. 정책이 아니라 정치인이 드러나는 영상, 실적이 아니라 선언만 남는 슬로건... 도민의 신뢰는 그 안에서 점점 사라져간다.
지금 이 시점, 전남도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우리는 전남을 홍보하고 있는가, 아니면 김영록을 홍보하고 있는가?”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