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김현미 의원, 6월말 기준 가계부채 1182조원…MB정부, 5년간 대부업체 대출 ‘급증’

NSP통신, 강은태 기자, 2013-10-08 14:16 KRD7 R0
#김현미 #가계부채 #대부업체 대출 #한국은행 #일산서구
NSP통신-김현미 민주당 국회의원
김현미 민주당 국회의원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현미 민주당 국회의원(경기고양, 일산서구)이 6월말 기준 가계부채가 1182조원 이며 MB정부 5년간 대부업체의 대출이 급증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한국은행이 제출한 ‘2008년~2012년 가계대출 추이’를 근거로 “2013년 6월말 기준 가계부채가 1000조원(가계신용+개인사업자+비영리단체 포함)을 넘어 서면서 나라경제 전반을 압박하는 가운데, MB정부 5년간 대부업체 등을 이용한 ‘기타금융 중개회사’등의 대출이 급격히 증가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 의원은 한국은행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대비 2012년 전체 가계대출은 32.5% (222.3조원) 증가한 가운데, 자산유동화회사 및 대부사업자 등으로 구성된 ‘기타금융중개회사’의 대출은 116.5%나 증가했고, 서민층이 주로 찾는 새마을 금고는 98.9%가 증가했으며 대학생들의 학자금 대출을 취급하는 한국장학재단의 경우, 5년간 무려 1350% 폭증했다”고 밝혔다.

NSP통신
fullscreen

특히 김 의원은 예금취급기관별 대출 추이를 살펴보면, “소위 제1금융권으로 불리는 예금은행의 경우 5년간 20.3%가 증가한 반면, 제2금융권인 상호저축은행 등으로 구성된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52%, 보험이나 대부업 같은 기타금융기관은 46.2%가 증가해 예금은행에서 대출을 거절당한 서민층의 대출수요가 비은행 등 제2, 제3금융권으로 몰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NSP통신
fullscreen

따라서 김 의원은 지난 2011년 6월 29일 정부의 ‘가계부채연착륙종합대책’ 시행 이후, “은행권의 대출태도가 강화되면서 금융소외자들이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 은행권으로 내몰리어 비은행 가계대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강조했다.

NSP통신
fullscreen

뿐만 아니라 김 의원은 “상호저축은행, 대부업체 등에서의 ‘비은행 가계대출’은 은행권보다 금리가 매우 높아, 저소득·저신용층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원리금 상환부담이 더욱 가증될 우려가 있어, 금융당국은 취약계층의 채무상환 부담 경감 대책을 보다 적극적이며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NSP통신
fullscreen

한편, 김현미 의원은 “가계부채는 2010년 이미 1,000조원을 넘어서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개인 순처분가능 소득’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등 ‘현재부채수준위험’ 역시 지난 5년간 147.3%에서 163.9%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이 매우 약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은태 NSP통신 기자, keepwatch@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989484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