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현대글로비스, 2030년까지 9조 투자…매출 40조 달성

NSP통신, 최정화 기자, 2024-06-28 16:52 KRX7
#현대글로비스(086280)

28일 2024 CEO 인베스터데이서 '현대글로비스 2030 성장 전략' 발표

NSP통신-현대글로비스 자동차 운반선(PCTC) 글로비스 스텔라호 (사진=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 자동차 운반선(PCTC) 글로비스 스텔라호 (사진=현대글로비스)

(서울=NSP통신) 최정화 기자 = 현대글로비스가 2030년까지 9조원 이상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사업 영역을 자동차 운송에서 산업 전반으로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현대글로비스는 2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2024 CEO 인베스터 데이(투자자 설명회)’를 열고 중장기 사업 및 투자 전략을 담은 ‘현대글로비스 2030 성장 전략’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현대글로비스의 인베스터데이는 회사의 미래 비전과 사업계획 공유를 목적으로 올해 처음 개최했다.

투자금 9조원은 물류(36%)와 해운(30%), 유통(11%) 등에 쓰일 예정이며 나머지 23%는 신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G03-9894841702

현대글로비스는 2030년까지 매출을 ‘40조원+α’로 키우고 영업이익 3조원, 영업이익률 7% 수준을 달성할 계획이다. 올해는 실적 목표를 매출 26조~27조원, 영업이익 1조6000억~1조7000억원 등으로 제시했다.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는 이날 설명회에서 “공격적 매출 성장과 높은 수익률을 동시에 달성할 방침”이라며 “기존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동시에 연 평균 1조3000억원가량의 핵심 자산 투자로 지속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전략적 필요에 따라 인수합병 방식의 성장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실적 증대를 위한 전략으로 ▲자동차 공급망 관리(SCM) 솔루션 지위 강화 ▲글로벌 E2E(End-to-End) 솔루션 전략 사업화 ▲톱티어(일류) 해운 경쟁력 강화 ▲스마트 물류 솔루션 사업화 및 체질 강화 ▲친환경 전략소재 자원순환체계 구축 등을 제시했다.

현대글로비스는 5대 전략을 통해 기업 정체성을 물류의 '연결'에서 '완결'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운반 대상도 '자동차'에서 '산업'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자동차운반선 사업은 오는 2030년 '글로벌 넘버원'으로 이끌겠단 포부도 내세웠다. 지난해 340만대였던 완성차 해상운송 물량을 2030년까지 500만대로 끌어올려 세계 시장점유율 20%를 차지해 1위에 오르겠단 목표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를 위해 현대자동차·기아 등 그룹 물량은 물론 비야디(BYD) 등 중국 전기차 업체와 완성차 업체 물량도 확보하기로 했다.

신사업은 스마트 물류 솔루션 사업과 배터리 재활용 사업 등을 검토 중이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AI) 로봇 등을 결합한 물류센터 사업, 사용후 배터리 운반 시장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날 현대글로비스는 주주친화 정책도 제시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향후 3개년간 신규 배당정책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배당정책이 기존 '전년도 주당배당금(DPS)의 5~50% 상향'에서 '전년 대비 배당금 최소 5% 상향, 배당성향 최소 25%이상'으로 변경된다. 현대글로비스 측은 배당성향 최소치인 25%를 가정해도 2027년 주당배당금이 2023년(6300원) 대비 100% 이상 확대될 것으로 봤다.

1대1 무상증자도 실시한다. 무상증자하게 되면 발행 주식 수량이 3750만주에서 7500만주로 늘어난다. 신주 배정 기준일은 다음달 15일이고, 신주는 8월 2일 상장된다.

이 대표는 “2030년 중장기 목표 달성을 위해 회사 구성원 모두 최선을 다하고 이 같은 회사의 성장이 주주에게도 즉각적으로 이어지도록 시장과 투명한 소통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