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금리인하 시점 불확실…가계대출은 ‘상승곡선’·은행권은 ‘난감’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4-06-14 14:26 KRX2
#한국은행 #FOMC #주담대 #금리인하 #가계대출

은행 가계대출, 2개월간 11조원 증가
은행권 “금리 인하시 대출관리로 상품악화 가능성”

NSP통신-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 = 로이터)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 = 로이터)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미국이 혼재된 경제지표를 발표함과 함께 연내 금리 인하 횟수를 3회에서 1회로 조정해 금리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최근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계대출과 관련해 은행권도 난감하다는 반응이다. 대출 증가세를 막기 위해서는 대출상품을 악화하는 방법밖에 없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권에선 미국의 금리 결정과 경제지표 수정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도 불확실해졌다는 반응이 나온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결정에 대해 “성장과 노동시장을 보는 시각이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물가의 둔화가 예상보다 더디다는 점이 올해 점도표를 3회 금리인하에서 1회로 축소하게 만든 배경으로 볼 수 있다”며 “이는 다시 말하면 물가의 둔화세가 지속성을 갖는다면 연준의 금리 전망이 바뀔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Jefferies도 “연준이 향후 금리 전망에 대한 확신이 부족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G03-9894841702

앞서 미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금리를 5.25~5.5%로 동결하고 연내 금리 인하 횟수를 기존 3회에서 1회로 조정했다. 그러나 PCE(개인소비지출)을 상향조정하고 경제성장률과 실업률은 조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도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고민에 빠졌다.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에 부동산시장부터 움직이고 있지만 최근 가계부채가 급증해 섣불리 움직이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NSP통신- (표 = 한국은행)
(표 = 한국은행)

한은에 따르면 지난 4월과 5월 두 달간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11조원 가까이 증가해 5월말 잔액이 1109조 6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3월 1조 7000억원 감소했다가 부동산 거래가 들썩이며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급증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거래량은 지난 2월 1만2000호에서 3월과 4월 1만 7000호로 늘었다. 전세자금대출도 지난 4월까지 감소세를 유지하다가 5월 7000억원 증가전환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하반기 금리 인하 전망이 더해지자 금융당국은 5대 시중은행과 한국은행을 불러 예정에 없던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해 대책을 논의하기도 했다. 금융위는 “4월 이후의 가계대출 증가세 확대는 주택거래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하반기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 지속 및 대환경쟁 압력 등에 따라 3%후반대 대출금리가 유지되면서 은행권 주담대와 일반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성 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확대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향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커진 만큼 긴장감을 갖고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해 적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 역시 “4월 들어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전환됐고 하반기 통화정책 기조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책모기지 요건 완화, 부동산 거래 회복, 부동산 세제개편 논의 등이 맞물리는 등 하반기에는 금융권과 함께 더욱 세심한 관리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대환대출로 금리 인하 압박을 받으면서도 대출 총량을 관리해야 하는 은행권은 난감한 상황이다. 주담대 금리는 대환 경쟁으로 지난해 11월 연 4.48%에서 올해 1월 3.99%, 3월 3.94%로 하락해 5월 3.2%까지 하락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국에서 가계대출을 관리하라 하면서도 대환대출로 고금리 차주들의 금리는 내려줘야 하는 상황이라 고민이 많은 것 같다”며 “무조건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금리가 인하되면 앞으로 가계대출 수요가 더 늘어날 가능성은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은행에서 가계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은 사실 상품성을 악화시키는 것밖에 없다”며 “대출 금리를 상향조정하거나 우대금리를 없애고 대출 한도를 줄이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금리 차주들에게 대환대출을 적극적으로 권하고 있어 상품성을 악화시키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다”라며 “배치되는 정책들로 인해 은행권도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