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전석훈 경기도의원, 경기도 AI국 신설, 스마트한 브랜드 정책 기대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24-05-24 14:50 KRX7
#전석훈도의원 #경기도의회 #경기도AI국신설 #브랜드정책 #의정활동

“경기도 AI국 신설, 스마트한 브랜드 정책을 만들어가는데 핵심적인 역할 할 것으로 기대”

NSP통신-전석훈 경기도의원. (사진 = 경기도의회)
전석훈 경기도의원. (사진 = 경기도의회)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전석훈 경기도의원은 오는 27일까지 입법예고 중인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에 따른 AI국 신설에 대해 “인공지능 기반의 미래 행정을 준비하기 위한 조직 구성안으로 시대 상황에 맞는 완성도 높은 행정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조례안이 제375회 정례회에서 통과 된다면 추후 절차를 거쳐 빠르면 오는 7월부터 경기도 AI국이 신설돼 AI프론티어사업과, AI산업육성과, AI미래행정과, AI데이터인프라과의 4개 핵심부서로 운영될 예정이다.

전석훈 의원은 경기도의 AI국 신설이 스마트한 브랜드 정책을 만들어가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앞으로 데이터 수집 및 분석부터 등 해야 할 일이 많아 행정력 집중이 필요하다고 했다.

G03-9894841702

특히 현재 경기도의 각종 데이터는 각 실, 국, 공공기관별로 각각 수백여개의 다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어 한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통합 운영의 일원화부터 충실히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경기도가 광주광역시에 비해 인공지능집적단지 구축에서부터 AI정책이 늦은 것은 사실이나 AI 행정분야의 경기도형 마스터플랜을 구축해 각 사업별로 브랜드정책을 만들기 시작한다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앞서가는 AI정책을 선도하는 광역단체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지난 2년간 전석훈 의원은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브랜드형 정책마련에 힘써 왔다.

특히 이태원 참사의 대응 정책으로 기획한 인파관리시스템과 경기도민에게 데이터 기반의 평생 공공일자리 제공 앱이 눈길을 끌고 있다.

인파관리시스템은 특정 지역에 갑자기 인파가 몰리게 되는 것을 모바일 기반으로 수집해 위험상황을 알리는 시스템으로 현재 경기도 상황실에서 운영 중이다.

이어 경기도민 평생 공공일자리 제공 앱인 일자리재단의 ‘잡아바 사이트’의 경우 인공지능 엔진으로 데이터에 기반하여 경기도의 공공 일자리 정보를 맞춤 제공해 주는 기능을 구축 중에 있다.

전석훈 의원은 경기도형 인파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난 1년간 SK, KT 등의 통신회사와 함께 데이터 수집 및 반영에 대한 연구를 해왔으며 경기도형 공공일자리 앱 개발을 위해 사람인 등 기존 대형 취업알선사이트와의 꾸준한 회의를 통해 구축방향을 연구해 왔다.

전 의원은 앞으로의 모든 경기도의 사업은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결합돼 진행돼야 하며 특히 사업 하나하나가 경기도민을 위한 브랜드라 생각하고 추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