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7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10.3p 큰 폭 상승…“주택사업 회복세 보여”

NSP통신, 정의윤 기자, 2023-07-18 11:09 KRX7EM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금리인상 #청약시장 #주택매매량 #주산연
NSP통신- (이미지 = 주산연)
(이미지 = 주산연)

(서울=NSP통신) 정의윤 기자 = 7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지난해 7월 당시 금리인상, 자금조달지수 대폭 하락으로 사업전망이 좋지 않던 주택사업이 점차 회복세를 보이면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주택사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지난 6월 22일부터 7월 3일까지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월대비 10.3p 상승해 93.2를 기록했다.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의 기준선(100)을 넘으면 주택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것을 의미하며 100미만일때는 부정적을 의미한다.

G03-9894841702

수도권은 전월대비 21.1p(79.7→100.8) 상승해 큰 상승폭을 보였다. 수도권의 경우 지난 1월부터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은 22.5p(87.5→110.0)로 상승하고경기는 22.1p(83.7→105.8), 인천은 18.8p(67.8→86.6) 상승했다.

특히 주산연에 따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을 중심으로 청약시장의 회복세와 주택매매량의 증가 등시장이 일부 회복되면서 주택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지방은 전월대비 8p(83.6→91.6) 상승했다. 경남(-0.5p), 제주(-4.8p), 세종(-7.7p)를 제외하고 전월과 같거나 상승세를 보였다. 지방에서는 광주가 가장 높은 지수로 15.8p(90→105.8)상승했고 이어 강원이 30p(70→100)상승했다.

다만 제주는 지난 5월 최고점(85.7p)을 찍은 후 하락세(81.2→76.4) 보이고 있다. 또 세종은 전월대비 하락폭이 가장 큰 지역으로 나타났다.

주산연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전년 동월대비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며 “ 2022년 7월 당시 금리인상과 자금조달지수의 대폭 하락으로 인해 사업전망이 좋지 않았던 주택사업이 점차 회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7월 주택사업경전망지수는 서울, 경기, 광주, 전남, 충북, 강원, 대전이 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시장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어 수도권의 회복전환이 지방의 지수 낙폭을 리드할 것이라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