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경북교육청, 2022 개정 교육과정 안정적 도입 준비에 박차

NSP통신, 조인호 기자, 2022-10-12 18:50 KRD7
#경북교육청 #임종식교육감 #학생생성교육과정 #교육부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경북형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모형 개발

NSP통신-경상북도교육청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 도입을 위해 도내 전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및 경북형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모형 및 편성 운영(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교육청)
경상북도교육청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 도입을 위해 도내 전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및 ‘경북형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모형 및 편성 운영(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교육청)

(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경상북도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 도입을 위해 도내 전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및 ‘경북형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모형 및 편성 운영(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년 초1, 2학년부터 적용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 을 기른다는 비전으로 현재 교육부에서 개정 작업 중이다.

‘학생 생성 교육과정’ 은 학생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배움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성찰하는 경북형 성장 지원 맞춤형 교육과정이다.

G03-9894841702

학생들의 교육과정 결정 및 선택권을 확대해 불확실한 미래사회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하는 역량을 길러주기 위해 연간 15시간 범위 내에서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학생 생성 교육과정’ 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3~6학년 전체 학생 1인당 2만 원의 운영비를 지원해 학생의 흥미·관심을 교육내용과 연계되도록 교사와 학생이 함께 주제를 정하고, 내용을 계획해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경북교육청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맞춰 교육과정 전문가, 대학교수, 초등 교사 등으로 연구팀을 구성해 경북의 특색 및 여건에 맞는 ‘경북형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모형 및 편성 운영(안)’ 을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소규모 학교 증가, 학령 인구 감소 등에 대응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이 가능한 경북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침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지난 11일부터 12일까지 2일간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교육과정 및 자유학기 담당 전문직과 교육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 도입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주요 내용을 알아보고,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을 위한 후속 지원 방안을 협의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지역 특수성에 맞는 학교교육과정 지원 방안 등에 대해 다각도로 협의했다.

임종식 교육감은 “지금이 바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 및 사회 변화와 감염병 확산, 기후환경 변화 등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 혁신이 필요한 때”라며 “사회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삶과 연계한 학교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NSP통신 조인호 기자 eno816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