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김철민 의원 “승무원 방사선 피폭, 항공사 적극적 안전관리 필요”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22-08-23 10:27 KRD7
#김철민국회의원 #안산상록을 #방사선피폭 #안전관리 #더불어민주당

20대 국회부터 집중 문제제기…대표발의 법안 5월 국회 통과

NSP통신-승무원 우주방사선 피폭 안전관리 개선 토론회 기념촬영 모습. (의원실)
승무원 우주방사선 피폭 안전관리 개선 토론회 기념촬영 모습. (의원실)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근로복지공단이 ‘골수 형성이상 증후군’ 진단을 받은 아시아나 항공 승무원에 대해 우주 방사선 노출로 인한 산업재해를 인정했다.

대한항공에 이어 아시아나에서도 방사선 노출 산업재해가 인정되면서 국내 항공사들의 우주방사선 피폭 안전관리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지난 2013년 우주 방사선 피폭 관리를 규정한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이 시행됐다. 그러나 x-ray와 같은 의료 방사선에 비해 생소한 개념 탓에 일반인은 물론 항공 승무원들 조차도 ‘우주 방사선’에 대한 위험성이나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G03-9894841702

그러던 중 2018년 혈액암 판정을 받은 전직 항공사 승무원이 비행 중 우주 방사선 노출로 인한 산재를 최초로 신청한 사실이 알려졌다.

국회에서 이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고 언론보도도 이어지면서 마침내 우주 방사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했다.

첫 포문을 연 것은 김철민 의원이었다. 당시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이었던 김 의원은 2018년 국정감사에서 항공사마다 각기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한 탓에 피폭량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것은 물론 정부 점검도 항공사가 제출한 자료만으로 이루어지는 등 우주 방사선 피폭에 대한 관리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후 김 의원은 우주 방사선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토론회를 진행하고 정부와 각종 개선책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는 한편, 우주방사선을 포함한 생활주변 방사선 피폭자에 대해서도 건강영양조사 시행하도록 한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20대에 이어 21대 국회에서도 김 의원의 관심과 활약이 이어지면서 동 법안은 지난 5월 본회의를 통과했다.

김 의원은 “처음 문제를 제기하고 법적 보완이 이뤄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고, 그 과정에서 많은 분들이 노력해 주셨다”며 “정부의 관리감독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항공사가 적극적으로 운항 스케쥴을 조정하는 등 승무원에 대한 철저한 피폭 관리에 나서 다시는 비극적인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NSP통신 김병관 기자 inspect1234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