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도남선 기자 = 미 뉴욕의 다우존스가 5년여만에 1만 4천선을 돌파했다.
2일(한국시각)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는 전날보다 149.21포인트(1.1%) 오른 1만 4009.79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AP 통신에 따르면 다우존스가 1만 4000선을 돌파한 것은 지난 2007년 10월 이후 처음이며 미국 다우지수는 1만4000선을 역사상 15번 넘었다.
S&P500 지수도 15.06포인트(1%)오른 1513.17을 기록했으며 나스닥도 36.97포인트(1.2%) 상승한 3179.09로 장을 마쳤다.
미 언론들은 연방준비제도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통화량이 증가하고 금리가 떨어지면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들이 증시로 몰리면서 최근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 이날 발표된 고용지표와 제조업지수 소비자 심리지수 등 각종 경제지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주가가 5년만에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미국의 일자리가 시장 예측치보다 많이 늘어난 것을 비롯해 다양한 호재가 쏟아지면서 투자심리가 되살아났던 것.
미 노동부는 지난달 새로 창출된 비농업 분야의 일자리가 예상치인 15만 5000개보다 많은 15만7000개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지난달 실업률은 지난해 12월 7.8%에서 0.1% 포인트 오른 7.9%였다.
이와 관련해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의 양적완화 기조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는 안도감이 확산됐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 ISM이 발표한 1월 제조업지수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53.1을 기록했다.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로 전월의 50.2와 시장 예측치 50.6을 웃도는 수준이다.
소비자심리지수 역시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던 것이 주효했다는 평도 있다.
톰슨 로이터와 미시간대는 1월 미국의 소비자심리지수가 전월 72.9와 예상치 71.5보다 높은 73.8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미국의 회복세에 대한 우려를 떨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들 지표가 발표되면서 투자심리가 되살아났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국이 지난해 4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는 발표가 나온 지 이틀 만이어서 효과가 더욱 컸다.
도남선 NSP통신 기자, aegookja@nspna.com
<저작권자ⓒ 국내유일의 경제중심 종합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