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폼랩, 3D 프린팅 산업 주요 이슈 및 2022년 사업전략 발표

NSP통신, 박유니 기자, 2021-12-08 08:30 KRD7
#폼랩

(서울=NSP통신) 박유니 기자 = 폼랩이 올해의 3D 프린팅 산업의 주요 이슈 발표와 함께 2022년도 자사의 사업 전략을 제시했다. 폼랩은 내년도에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 재료 인증과 함께 품질과 비용효율이 높은 3D 프린팅 솔루션으로 국내 치과 및 의료와 디지털 제조 분야 시장을 적극 확대한다.

올해 국내 3D 프린팅 산업은 여전히 코로나 영향권에 있어 전반적으로 경기 불황 상태였다. 3D 프린팅 활용면에서도 기업이 바로 제작해 판매할 수 있는 완제품 생산보다는 모형 제작이나 연구 및 시제품 활용에만 그치고 있어 시장 형성이나 확대면에서 어려운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시장의 활성화는 활용 분야의 다각화와 맞춤형 소비자 제품의 대규모 생산에 있다고 강조한다.

NSP통신-3D 프린터 (폼랩 제공)
3D 프린터 (폼랩 제공)

폼랩은 올해 침체된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분야로의 서비스 확대에 중점을 두고 제품의 라인업을 강화했다.

주력 프린터인 폼 3B를 업그레이드해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제작했으며, 피부 상호작용 및 기타 생체 적합 요구에 부합하는 12가지 이상의 신소재를 개발하는 등 치과 및 의료 분야 서비스를 확대했다.

G03-9894841702

후처리 가공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대형 프린터 폼 워시 L 및 폼 큐어 L 그리고 퓨즈 1을 출시해 맞춤형 소비자 부품의 대규모 생산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기업 맞춤형 디지털 제조 기술을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는 폼랩 팩토리 솔루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제조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제조 분야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폼랩코리아는 내년도 3D 프린팅 국내 시장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레진의 고품질, 비용 효율성, 후처리 가공 자동화 등 차별화된 기술로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치과 및 의료와 디지털 제조 분야를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우선 내년 1월 식약처 인증이 예상되는 2개의 덴탈 레진을 통해 안전하고 정확한 3D 프린팅 솔루션을 치과 및 의료 분야에 확대 공급할 계획이다.

김진욱 폼랩코리아 지사장은 “3D 프린팅 활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다양해지는 사용자 요구대응을 위해 폼랩은 전 제품에 품질과 비용효율성을 높인 기술과 후처리 가공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고 발전시키고 있다”면서 “내년에는 글로벌 치과와 의료 분야 점유율이 높은 폼랩 솔루션의 국내 공급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NSP통신 박유니 기자 ynpar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