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유정상 기자 = 지난 23일 한양이 전라남도 여수시로부터 ‘동북아 LNG 허브(Hub) 터미널’ 건설을 위한 승인을 받았다.
이 사업은 한양이 전라남도 여수시 묘도 65만㎡ 규모 부지 위에 총 1조2000억 원을 투입, 2024년까지 20만㎘급 LNG 저장탱크 4기와 기화송출설비, 최대 12만7000톤 규모의 부두시설을 준공하는 사업이다.
한양은 앞서 지난 3월 산자부로부터 20만 ㎘급 LNG 저장탱크 1기에 대한 공사계획 승인을 받았다. 이어 연내 추가 수요처를 확보, LNG 저장탱크 총 3기에 대한 공사계획 승인을 추가함으로써 당초 2024년까지 준공을 목표로 했던 총 4기에 대한 공사계획 승인을 모두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한양은 이번 착공을 기점으로 연내 인허가 승인 후 2021년 중순까지 기초공사를 진행해 LNG 저장탱크 및 기화송출설비 등 본 설비에 대한 공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국내 발전용·산업용 수요처에 LNG를 공급하고, 글로벌 LNG 트레이더들에게 LNG를 저장·반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말 한양은 천연가스반출입 사업용 탱크 임대를 위한 보세구역을 허가받았다. 반출입업 탱크 공사계획까지 앞두고 있어, 해외 LNG 트레이딩이 가능한 개방형 민간 터미널의 면모를 갖출 전망이다.
설명에 따르면 개방형 민간 터미널은 국내 수요처를 위한 저장 및 공급을 넘어 트레이딩이 가능한 점을 활용해 다양한 국내외 수요처들이 거래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번 터미널이 활성화될 경우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국내 LNG 직수입 발전소에 자유로운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동북아시아의 LNG 거래 허브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양의 LNG 사업은 2030년까지 세계 최대 상업용 허브 터미널을 건설하고 LNG 처리물량 세계 1위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LNG 터미널 외에도 벙커링, 수소산업, 냉열이용창고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NSP통신 유정상 기자 yootop@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