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경기도, 안정적 드론 활용 ‘사용 지침’ 마련

NSP통신, 이지은 기자, 2019-01-14 15:29 KRD7
#드론 #무인비행장치 #구조활동 #화재진압 #권경현

무인비행장치 운영, 관리, 활용 전 과정 필요한 사항 담아

NSP통신-드론시범운영 모습. (경기도)
드론시범운영 모습. (경기도)

(경기=NSP통신) 이지은 기자 = 불법 환경오염 단속이나 국·공유지 조사 등 행정 분야에도 드론(무인비행장치)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경기도가 일종의 드론 사용지침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간다. 행정분야에 드론활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무인비행장치 운영·관리 규정’을 14일 공포했다. 이 규정은 지난 달 경기도조례규칙심의회를 통과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경기도에는 토지정보과와 소방재난본부, 광역환경관리사업소 등 5개 부서에서 19대의 드론을 구조활동 및 화재진압, 환경감시, 지도단속 등 다양한 행정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G03-9894841702

규정에는 종합계획 수립, 드론 공간정보 구축, 보안 관리, 사고발생시 대처 방법 등 안전하고 효율적인 드론 활용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관리 방법이 담겨 있다.

도는 이번 규정 공포가 공공기관내 드론 도입의 길잡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 토지정보과는 지난 2017년 8월 드론 3대를 도입한 후 전문 운영인력 2명을 채용해 도내 25개 부서에 드론 영상자료 240여건을 지원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직접 현장에 나간 것처럼 선명하고 실시간 상황을 담은 영상을 제공해 위원회나 각 부서의 정책결정에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올해 드론으로 촬영한 데이터를 한 곳에 모은 ‘드론스페이스’를 구축해 모든 직원들이 활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도는 드론스페이스가 드론 영상정보를 공유하여 행정 활용도를 높이고 중복 촬영방지 등으로 예산절감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권경현 경기도 토지정보과장은 “이번 규정 제정이 드론 운영의 안정적 기틀을 마련해 행정서비스 질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NSP통신/NSP TV 이지은 기자, zeunby@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