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평택시, 2035년 평택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NSP통신, 배민구 기자, 2018-11-08 16:07 KRD7
#평택시 #정장선 #평택도시기본계획 #행정문화도심 #물류관광도심

2도심 3지구 중심, 동부·서부 2개 생활권으로 변경

NSP통신-평택시청 전경. (평택시)
평택시청 전경. (평택시)

(경기=NSP통신) 배민구 기자 = 경기 평택시(시장 정장선)가 2035년 계획인구 90만명에 도시공간구조를 2도심 3지구 중심의 2개 생활권으로 재배치하는 2035년 평택 도시기본계획을 8일 최종 승인했다.

2035년 평택 도시기본계획은 목표연도가 도래하고 있는 기존 2020년 평택 도시기본계획에 급변하는 평택시의 현안들을 반영하고 대·내외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추진됐으며 시민과 함께하는 시민계획단 운영을 시작으로 주민설명회, 공청회,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의 행정절차를 거쳐 최종 승인됐다.

이번 도시기본계획은 도시 미래상을 시민계획단 활동결과와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문화, 경제, 자연이 조화로운 시민의 도시 평택’으로 설정하고 미래상 달성을 위해 5대 핵심이슈, 18대 추진전략과 58개 실천전략 등 세부 방향을 제시했다.

G03-9894841702

주요 계획지표로는 계획인구 90만명, 가구당 인구 2.3인, 상하수도 보급률 100.0%, 1인당 공원면적 16.3㎡으로 계획했다.

도시공간구조는 균형발전과 여건변화를 고려해 고덕, 송탄, 남평택 중심의 행정문화도심과 안중, 포승, 현덕중심의 물류관광도심, 진위, 팽성, 청북의 지구중심 등 2도심 3지구중심으로 설정했다.

생활권 설정은 당초 북부, 남부, 서부 3개 생활권을 도시공간구조 및 여건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자 동부, 서부 2개 생활권으로 변경했다.

토지이용계획은 확정된 개발사업 및 도시관리계획 등을 고려해 103.594㎢을 시가화용지로 반영했으며 앞으로 도시 발전에 대비해 개발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고자 36.588㎢를 시가화예정용지로 확보했다.

또 광역도로망과 연계를 강화하고 교통망 체계구축을 위해 권역별 순환축을 설정했고 미세먼지 저감 등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마련하고자 남북·동서 간 철도축, 대중교통의 환승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해 신교통수단인 BRT·LRT를 제시해 대중교통서비스 강화를 모색했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2035년 평택 도시기본계획 승인을 통해 국제교류 및 항만물류 중심의 직주근접 자족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됐다”며 “경기남부광역거점도시로써 시민 중심의 새로운 평택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에 승인된 2035년 평택 도시기본계획은 약 한달 간 일반인들에게 열람할 계획이며 평택시 도시계획과 및 송탄출장소(건설도시과), 안중출장소(건설도시과),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NSP통신/NSP TV 배민구 기자, mkbae@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