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NSP통신) 남정민 기자 = 전남 고흥군 팔영산 기슭 만경암이 한말 항일 의병의 치열한 전투 현장으로서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됐다.고흥군(군수 공영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전라남도가 추진한 ‘국가유산 지정 사업’의 일환으로 ‘고흥 만경암 항일 의병 전적’이 도 기념물로 새롭게 지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도내에 남아 있는 항일독립유산을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민족정신이 깃든 유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만경암 항일 의병 전적은 팔영산 흔들바위 인근 능가사의 산내 암자 터에 위치한다. 험준한 산세와 은폐·방어에 유리한 지형 덕분에 1909년 한말 전남지역 의병부대의 주둔지이자 격전지로 기록돼 있다.
특히 이곳은 흥양 의병부대가 일본군과 맞서 벌인 치열한 전투 상황이 문헌에 구체적으로 남아 있는 드문 사례로 역사적 사실성과 전략적 가치가 인정됐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전국적으로 항일 의병 봉기가 확산되던 시기 고흥에서도 팔영산을 거점으로 의병 무장투쟁이 활발했다. 당시 신성구 의병대장은 120여 명의 부대를 이끌고 만경암에 주둔하며 일본군과 맞섰다.
1909년 7월 7일 오후 6시 일본군 토벌대의 기습으로 시작된 전투는 다음 날 오후 8시까지 26시간 동안 이어졌다. 이 격전에서 16명의 의병이 전사했으며 만경암 일대는 고흥 항일 의병 투쟁사의 상징적 장소로 남았다.
군 관계자는 “전적지의 보존과 정비, 훼손 방지 대책은 물론 의병 자료 수집과 구체적인 전투 기록 발굴 등 역사적 증거 확보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팔영산 만경암에서 산화한 16인의 영령을 기리는 위령제가 오는 29일 오전 10시 점암면 능가사에서 거행될 예정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