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라 즉각 ‘경기도 특별지원 대책회의’를 소집하고 지역 경제 안정화 및 기업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김 지사는 이날 가평군에서 수해복구 자원봉사 활동을 마친 직후 회의장으로 직행해 신속 대응에 나섰다.
이날 회의에서는 ▲특별경영자금 500억원 추가 지원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 대상 확대 검토 ▲관세협상 대응 예산의 감액 추경 제외 ▲‘무역위기 대응 시즌 2’ 준비를 위한 특별대책회의체 구성 등이 주요 대응 방안으로 확정됐다.
김 지사는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가 오랫동안 주시하며 마음 졸였던 협상 결과가 드디어 나왔다”며 “경제에 가장 큰 부담을 주는 요소는 불확실성인데 이번 협상을 통해 그 불확실성을 해소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김 지사는 이번 협상의 의미로 ▲주요 경쟁국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조건 확보 ▲협상 시한 내 타결로 인한 시장 안정 효과 ▲쌀·소고기 등 민감한 농축산물에 대한 비관세 장벽 방어 성공 등을 꼽았다.
또한 그는 “협상 과정에서 밤늦게까지 소통하며 협상팀을 격려하고 지도한 이재명 대통령의 헌신도 매우 컸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김 지사는 외교적 성과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대한민국 외교의 정상화를 상징하는 전환점이 되었고, 윤석열 정부 시기의 역주행과 불법 계엄 논란, 비정상 외교를 바로잡는 계기가 됐다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제는 여야를 막론하고 보수와 진보를 넘어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국익 중심 외교에 국민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시점”이라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국정의 제1동반자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