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조현철 기자 =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 또 다시 왜곡된 역사 기술이 포함되자 국회 교육위원 김준혁 국회의원이 일본 정부를 강하게 규탄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준혁 국회의원(수원정·교육위원회)은 27일 성명을 내고 일본 정부가 반복적으로 역사 왜곡에 앞장서고 또 묵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앞서 지난 25일 일본 문부과학성이 2026학년도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31종 검정을 통과시킨 데 대해 강력히 규탄하며 즉각적인 시정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성명에서 “올해는 한일 수교 60년을 맞는 뜻깊은 해인 데도 일본은 과거 침략의 역사를 인정하지 않고 왜곡하고 있다”며 “이는 일본 미래 세대에게 잘못된 역사관을 주입하고 동아시아 평화협력을 해치는 중대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번에 검정을 통과한 일본 교과서들은 역사적 사실을 크게 세 가지로 왜곡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가지는 ▲독도를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주장하며 한국이 독도를 “불법 점거 중”이라는 허위 내용 반복 ▲강제징용 관련 기술에서 ‘연행’을 ‘동원’으로 바꾸어 강제성을 의도적으로 희석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두고는 “정부가 해결했지만 문제 가 남았다”라는 무책임한 표현으로 일본 정부의 책임을 회피했다는 것이다.
또 1910년 ‘한일병탄조약’ 관련 내용에서 “강요했다”는 표현을 삭제해 과거 침략 역사를 감추기도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일본 역사 왜곡 방치 책임도 강하게 지적했다. 윤 석열 정부가 이른바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제3자 변제안’에 동조하고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고 말했다.
특히 뉴라이트 인사를 역사 관련 기관장에 임명하는 등 친일·반민족적 행보를 보여 왔다고 지적했다.
김준혁 국회의원은 “역사학자로서 역사를 부정하는 국가는 결코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며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 즉시 철회와 사과, 독도 영유권 주장 중단 강제징용 및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전쟁 범죄 책임 인정과 배상 등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도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해 외교적·교육적 수단을 총동원해 단호히 대응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