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NSP통신) 남정민 기자 = 한국 사회는 급격한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전라남도 보성군은 전략적인 인구정책을 통해 이러한 흐름을 바꾸는 데 성공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출산율 반등과 청년층 유입 확대가 가시적인 효과를 나타내면서 보성군은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출산율 상승, 전남 8위 도약
보성군은 2023년 1월 인구정책과를 신설한 이후 적극적인 출산 장려 정책을 펼치며 출생아 수 증가를 이끌어냈다. 2022년 81명이었던 출생아 수는 2023년 103명, 2024년 117명으로 2년 연속 증가했다.
특히 2022년 0.79명이었던 합계출산율이 2024년 1.20명으로 상승하며 전남 22개 시·군 중 19위에서 8위로 뛰어올랐다. 전국적으로도 17위를 기록하며 지방 소멸 위기 극복의 모범 사례로 떠올랐다
.보성군은 출산장려금 지급을 대폭 확대해 첫째아 600만 원, 둘째아 720만 원, 셋째아 1080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2025년부터는 1세~18세 아동에게 매월 20만 원씩 지급하는 ‘출생기본수당’을 도입해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이 외에도 산후조리비, 난임부부 지원 등 다양한 맞춤형 정책을 통해 출생아 1인당 최대 1억 1000만 원을 지원하는 등 실질적인 지원책을 강화하고 있다.
▲청년층 정착 유도...농촌에도 희망을
보성군은 단순히 출산 장려에 그치지 않고 청년층의 정착을 유도하는 정책에도 힘을 쏟고 있다. 청년들이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주거·일자리·문화 지원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정책을 추진 중이다.
먼저 신혼부부의 정착을 돕기 위해 이사비용을 지원하고, 벌교읍에는 ‘전남형 만원 주택’을 도입해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줄이는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청년마을 조성사업’을 통해 청년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공간을 조성하고 있으며 디지털 혁신 및 탄소중립 관련 일자리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내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문화·교육 분야에서도 청년 네트워크 구축, 청년 문화축제 개최, 온라인 화상 영어 교육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 청년들의 소통과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청년 농부 연구모임을 활성화하고 영농 정착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청년들의 농촌 정착을 돕고 있다. 특히 도시 가정을 유치하는 ‘농산어촌 유학 프로그램’을 통해 깨끗한 환경과 지역 교육을 접목해 부모와 아이가 함께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 같은 정책의 효과로 문덕면은 3년 연속 인구 증가를 기록하며 농촌 지역 인구 유입의 성공 사례로 떠올랐다.
▲출산·청년·정착이 결합된 종합 인구 정책
보성군의 인구 정책은 단순한 출산 장려를 넘어 청년 유입, 주거 안정, 지역 경제 활성화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뿐만 아니라 청년과 가족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보성군이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성공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책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성군의 인구 반등 사례는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정책 개선과 지원 확대를 통해 지역의 활력을 되찾는 노력이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