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경상북도교육청은 22일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학교 현장에 배치될 기초학력 전담교사 57명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2021학년도부터 도입된 ‘기초학력 전담교사제’ 는 학습 지원 대상 학생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목적으로 정규 교사를 추가 배치해 기초학습이 부족한 학생들의 학습과 교육활동을 담임교사와 협력해 지원하는 제도다.
이날 연수는 2022학년도 기초학력 전담교사제의 목적과 운영 방향 전달 및 기초학력 전담교사의 지도 역량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2021학년도 운영 사례집인 ‘궁금했던 기초학력 전담교사 이야기’ 와 전담교사에 직접 참여했던 선생님의 현장 사례 안내를 통해 학생들의 지도 방향 설정에 큰 도움을 주었다.
학교 현장에 배치되는 기초학력 전담교사 57명은 오는 3월부터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국어와 수학 수업에 ‘함께 공부방’ , ‘따로 공부방’ 을 통해 주당 16~20시간 학생들을 지도하게 된다.
지난해 12월에 실시된 현장 설문조사 결과 별도 공간에서 학생과 1:1로 이루어지는 ‘따로 공부방’ 운영이 학습 지원 대상 학생의 맞춤형 지도와 성장에 큰 도움이 됐다고 운영 교사의 80%가 응답한 바 있다.
연수회에 참여한 한 기초학력 전담교사는 “지난해 처음 전담교사를 맡아 아쉬웠던 점을 보완해 올해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지도 방안과 다양한 형태의 협력 수업 모델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학생 지도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이양균 유초등교육과장은 “지난해는 기초학력 전담교사제 운영의 첫해였지만 전국 최대 규모의 정규 교사 배치, 80% 이상의 높은 현장 만족도, 운영 사례집 제작·배포 등 다양한 성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선생님들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이라 생각한다”며 “올해도 역량 강화 연수를 시작으로 기초학력 전담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NSP통신 조인호 기자 eno816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