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MBK와 홈플러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해 검찰이 이첩했다”고 밝혔다.
24일 이 원장은 ‘자본시장 현안 간담회’에서 “금융당국은 최소 5월말까지 TF를 지속 가동해 이어지는 검찰 수사에 협조하는 한편 MBK 등에 대한 검사와 홈플러스 회계 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을 지속적으로 규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법원의 회생 절차 진행은 존중돼야 하며 채권자 등이 자율적으로 회생 계획안에 동의해 회생을 감내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사회적 과정”이라며 “그러나 MBK와 홈플러스 측이 회생 신청 이후 보여준 모습을 보면 채무자 및 그 대주주와 채권단 간의 주객이 전도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납품업체에 대한 상거래채권을 정상적으로 변제 하겠다고 수차례 발표한 것과 달리 변제가 지연되고 있어 납품업체의 불안이 지속되고 있고 지난 3월부터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는 채 일방적으로 임대료의 감액을 인대인 측에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반면 채무자인 홈플러스 대주주 측의 채무자 회사에 대한 추가 출자 또는 주주 우선 책임 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경영 실패 책임이 있는 자의 자구책에 대해서는 일언반구의 언급이 없다”고 꼬집었다.
이 원장은 “시간을 끌며 회생 계획을 강요하는 식의 전략적 접근보다는 채권단, 납품업체, 임대인, 근로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진심 어린 이해와 양보를 구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이 시점부터 고민하고 함께 실효성 있고 진정성 있는 사태 해결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