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0개 국내은행의 CEO들을 불러모은 자리에서 “CEO 선임절차 논란 등 지배구조가 아쉽다”, “금융사고에 고위 경영진이 연루됐다”며 질책했다.
19일 이 원장은 박충현 금감원 은행부문 부원장보, 20개 국내은행 은행장들과 함께 은행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밸류업) 및 지배구조 선진화 ▲자산·상품 쏠림 리스크 관리 ▲실질적인 내부통제 강화 ▲취약계층에 대한 자금공급 등에 대한 당부사항을 전달했다.
이 원장은 “최근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밸류업 정책이 은행의 자본적정성 관리와의 균형 및 지배구조의 선진화를 바탕으로 지속 추진되기를 기대한다”며 “특히 지배구조와 관련해서는 모범관행 도입, 이사회 소통 정례화 등 제도적인 측면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례(CEO 선임절차 논란, 이사회 견제 미흡 등)를 보면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최근 IBK기업은행에서 발생한 240억원 규모의 금융사고와 관련해 “최근까지도 고위 경영진이 연루되는 등 대형 금융사고의 재발을 목도하면서 내부통제의 질적 개선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실감하고 있다”며 “조직문화를 과감히 쇄신하고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를 구현하는 한편 빠른 기술 발전으로 점증하고 있는 IT리스크 관리에도 경영진이 앞장서 달라”고 당부했다.
은행장들은 “최근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은행권의 역할이 필요하다”며 “최근의 금융사고로 인해 실추된 신뢰를 회복하는데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은행장들은 내부통제 강화 유도를 위해 우수 사례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및 공유 활성화 등 감독 차원의 지원 확대를 건의했다.
이 원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제언과 건의사항에 대해서는 향후 감독·검사업무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