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유통 업계동향
폭염에 ‘열’받은 택배기사들 CJ대한통운 움직이나…롯데온·G마켓 ‘상생’표창
(서울=NSP통신) 이정윤 기자 = 11월 시중에 풀린 통화량이 소폭 증가하긴 했지만 넉 달째 4%대에 머무르며 증가율 둔화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11월 통화 및 유동성’을 보면 11월 통화량(M2)은 2517조원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4.8% 증가했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머니마켓펀드(MMF) 등을 합친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다.
M2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은 2015년 10월(8.8%) 이후 민간신용 증가율 축소 등에 따른 하락세가 지속되다 최근 4개월간 4% 중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전월대비 M2 증가율은 02%로 전월(0.8%)에 비해 둔화했다.
한은은 “경상수지 흑자 등에 의해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외화예수금이 증가하고 일부 은행의 자금유치 노력 등으로 금융채 및 정기 예적금이 증가했으나 전월 부가세납부 영향 등으로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상품별로 살펴보면 2년미만 외화예수금, 금융채, 정기예적금이 각각 9조1000억원, 5조3000억원, 4조8000억원 증가했고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9조2000억원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10조2000억원, 기타금융기관이 6조1000억원, 기타부문에서 5조7000억원 등으로 증가했다.
NSP통신/NSP TV 이정윤 기자, nana101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