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CJ제일제당, 학술 심포지엄서 ‘김치유산균 상용화’ 사례 발표

NSP통신, 박유니 기자, 2017-01-18 11:00 KRD7
#CJ제일제당(097950) #김치유산균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서울=NSP통신) 박유니 기자 = CJ제일제당은 지난달 17일 강원도 평창 용평리조트에서 열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주최 심포지엄에서 김치유산균 상용화에 대한 사례 발표를 했다.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심포지엄은 국내 미생물학 및 생명공학 분야의 국내 최고 학회이자 국제 저명 학회로, 국내외 과학자들의 선도적 연구 개발 결과에 대한 교류를 위해 마련됐다. 이번 동계 심포지엄은 ‘게놈부터 장내 미생물까지(From Genome to Microbiome)’라는 주제로, 미생물 및 생명공학 관련 학계, 연구소, 기업 등 전문가와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해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 공유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기업 대표로 심포지엄에 초청된 CJ제일제당은 김봉준 통합연구소 유용미생물센터장이 연사로 나서서 ‘김치의 유익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NSP통신-김봉준 CJ제일제당 유용미생물센터장이 지난달 17일 강원도 평창 용평리조트에서 열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심포지엄에서 김치유산균 상용화에 대한 사례 발표를 하는 모습. (CJ제일제당 제공)
김봉준 CJ제일제당 유용미생물센터장이 지난달 17일 강원도 평창 용평리조트에서 열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심포지엄에서 김치유산균 상용화에 대한 사례 발표를 하는 모습. (CJ제일제당 제공)

발표에서는 3500여개 김치유산균 분석을 통해 지난 2013년 12월 제품화에 성공한 BYO 피부유산균 CJLP133의 연구 배경과 세계 최초 피부면역 개별인정 원료 개발 과정, 신규 인체적용시험 연구 결과 등이 소개됐다.

G03-9894841702

특히 아토피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 중 식품이나 집먼지진드기 등으로 알레르기 염증이 증가된 환자에게 피부유산균이 더 큰 효과를 보였다는 최근 신규 임상시험 연구결과가 많은 주목을 받았다고 CJ제일제당 측은 전했다.

이외에도 심포지엄에서는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장내 미생물’과 ‘방선균류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 의학계, 생명공학 연구소 등 각계각층의 심도 깊은 연구 발표와 논의가 진행됐다.

NSP통신/NSP TV 박유니 기자, ynpar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