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들어보니

신영증권, 홈플러스와 채권발행 ‘진실공방’…“사실무근이지만 원만 해결”

NSP통신, 설희 기자, 2025-03-13 18:14 KRX9
#신영증권(001720) #홈플러스 #채무불이행 #채권발행 #진실공방
NSP통신

(서울=NSP통신) 설희 기자 =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25일 채권을 발행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는 지난달 28일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을 A3에서 A3-로 하향했다. 이번달 4일에는 A3-에서 D로 조정했다.

실제 홈플러스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지난달 25일에 이미 알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신영증권측에 신용하락 사실을 전달한 뒤 다음 날인 28일 신영증권측과 협의했다.

G03-9894841702

하지만 신영증권은 “지난달 27일 홈플러스측으로부터 신용하락을 전달받은 것이 없다”라며 “또한 28일에도 협의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해 양측의 책임 공방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은 홈플러스 회생 신청 관련 언론 등에서 제기된 여러 의혹 및 사실관계 등을 확인하기 위해 13일 오후 4시 기업어음(CP) 등의 인수 증권사인 신영증권 및 신용평가사 2곳(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에 대해 검사에 착수했다.

이에 대해 양측의 입장을 들어보니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을 전달했다”는 것이고, 신영증권은 “사실무근”이라는 상반된 주장을 폈다.

◆홈플러스, “지난달 신영증권에 신용등급 하락 전달”

홈플러스는 지난달 27일 오후 늦게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이 한 등급 하락됐다는 최종 신용평가 결과를 통보 받았다는 주장이다.

신용등급 하락으로 단기자금 운영에 지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발생함에 따라 지난달 27일 오후 5시경 신영증권 담당자에게 신용등급 하락 사실을 전달했다는 것이다. 이어 28일 오전 신영증권 담당자와 만나 신용등급이 하락된 상황에서 향후로도 매입채무 유동화 발행이 가능한지, 발행 규모는 어느 정도가 가능할지 등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다는 설명이다.

홈플러스는 “신영증권으로부터 최대한 발행 가능한 규모가 기존 발행금액의 4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음에 따라 단기자금 확보 가능한 규모가 크게 줄어들게 돼 자금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됐다”며 “이에 협력사와 직원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연휴기간이 끝나는 지난 3월 4일 긴급하게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된 것이다”라고 밝혔다.

◆신영증권, 홈플러스의 보도자료는 ‘사실 무근’ 원만한 협의 원해

지난달 27일에 신용등급 하락 사실을 전달했고 28일에 협의를 진행했다는 홈플러스 주장에 대해 신영증권 관계자는 “그건 사실이 아니다”라고 확답했다.

이어 “전달받은 적 없다”며 “이런 등급 같은 경우에는 신용평가사에서 공시한 이후에만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이런 이슈가 생길 시에 물량이 어떻게 변동될지 수요 예측을 (홈플러스 쪽에서) 좀 해달라라고 했는데 이 자산을 담보로 발행된 초단기 사채(ABSTB) 시행 자체가 신용평가 등급만으로 평가되는 시장은 아니다라고 답했다”라며 “금리나 유동성이나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다음에 평가되는 시장이어서 그것만으로는 수요 예측이 어렵다고 (홈플러스 쪽에) 이야기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40%까지 발행이 가능하다고 답변한 부분에 대해서는 “당황스럽다”며 “그 말을 했던 담당자도 ‘절대 그런 말 한 적 없다’며 ‘이렇게는 수요 예측이 어렵다’고 (내게) 말했다”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신영증권에서는 홈플러스 사건을 어떻게 진행할 예정인지 질문에는 “아직 윤곽 잡힌 게 없다”며 “상거래 채권인지 금융 채권인지 이런 것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신영증권이 홈플러스 사건 관련해 고소, 고발을 같이 진행하는지 최근 기사의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질문에는 “그것도 기사 한 개만 나왔는데 사실이 아니다”라며 “저희가 주관사여서 모든 방면을 당연히 고려를 해야 하는 부분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법적 대응까지 가면은 모두가 힘들어지니까 웬만하면 원만한 방향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형사고소는 절대 안 할 거냐 이건 고려해보지도 않았냐 했을 때 그건 아니다”라며 “모든 방안을 다 고려를 해야 하니까 그래서 자꾸 그쪽으로 포커싱이 맞춰진 거 같다”고 해명했다.

이어 “협의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기준은 아직 변함이 없다”고 다시금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