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우리금융 정조준 금감원…“손태승 연계 부당대출 62% 현 경영진 취임 이후”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5-02-04 10:15 KRX2EM
#우리금융지주(316140) #손태승 #우리은행 #부당대출 #임종룡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관련 부당대출 380억원 추가 적발
61.8%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
고위 임직원도 부당대출 1604억원 취급…61.5% 현 경영진 취임 이후
금감원 “현 경영진, 고민해야 할 지점”

NSP통신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 연계 부당대출 금액이 기존 350억원에서 730억원으로 불어났다. 금융감독원 정기검사를 통해 다수 임직원이 관여된 부당대출 380억원을 추가 적발하면서다. 특히 총 730억원 중 61.8%가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된 것으로 드러나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도 책임론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졌다.

4일 금융감독원은 ‘2024년 지주·은행 주요 검사결과’ 기자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박충현 금감원 은행담당 부원장보는 “은행권 검사 결과 지난 2022년 우리은행 본점 대형 횡령, 2023년 경남은행과 대구은행, 2024년 다수 은행 영업점에서 확인된 규모만 3000억원에 달하는 부당대출이 잇따라 발견됐다”며 “이제 사고원인을 일부 임직원의 개인적 일탈로 치부할 수 없게 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의심 대출 350억원 이외에 이번 정기검사를 통해 380억원을 추가 적발했다. 시설자금대출을 취급하면서 부도수표를 기거래 중도금 증빙으로 인정하거나 계약서 등 고객 제출 서류 진위확인 소홀, 자기 자금 및 상환능력 심사 부적정 등 의 방법으로 부당대출을 취급한 것이 드러났다. 현재까지 드러난 부당대출 금액 730억원 중 451억원(61.8%)은 현 경영진 취임(2023년 3월) 이후 취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G03-9894841702

금감원에 따르면 정기검사 과정에서 전임 회장 친인척 관련 여신을 주도적으로 취급한 지역본부장 A씨가 B지점을 통해 전임 회장 친인척과 관련된 법인에 42억 7000만원(6건)을 취급하며 자금용도·상환능력 평가를 소홀히 하는 등 내규를 다수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퇴직 후에는 전임 회장 친인척과 관련된 차주사에 재취업한 사실도 확인됐다.

NSP통신

◆전현직 고위 임직원 27명, 총 1604억원 부당대출 취급

이와 함께 전현직 고위 임직원 27명(본부장 3명, 지점장 24명)이 단기성과 등을 위해 대출심사·사후관리를 소홀히 해 부당대출 1604억원을 취급했고 이중 987억원(61.5%)은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된 것으로 드러났다.

금감원에 따르면 여신지원그룹 부행장 C씨는 같은 교회 교인으로 알려진 대출 브로커 D씨를 부하직원이었던 지점장 F씨에게 소개했다. F씨는 D씨를 통해 여신 17억 8000만원(3건)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상환능력·소요자금 심사 등을 소홀히 하고 처(妻)의 계좌로 3800만원을 수수한 정황을 확인했다. C씨가 영업본부장 시절 F씨는 해당 영업본부의 부지점장으로 근무한 바 있다.

또 지점장 G씨는 모 법인의 부동산 매입자금 대출 250억원이 본부심사에서 거절되자 차주와 공모해 계약서 조건과 금액을 변경 후 여신 승인 부결시 차주가 손해배상을 정구할 수 있다며 여신 승인에 부정적이었던 담당심사역을 압박해 여신을 승인하도록 했다. 대출금 일부를 제3자에게 지급하는 등 차주관계자의 횡령을 방조한 혐의가 있다.

NSP통신

◆부당대출 대부분 부실화…금감원 “지주 차원 내부통제 실효성 없어”

금감원이 ‘현 경영진 취임 이후’라는 기간을 명시한 이유에 대해 박 부원장보는 “현 경영진이 취임한 이후 1년 뒤에도 부당대출이 여전히 취급됐다는 것은 조직문화와 분위기가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조직관리 차원에서 좀 더 세밀하게 살펴봐야 하지 않나 하는 차원에서 언급했다”고 답했다.

금감원은 이번에 적발된 손 전 회장 연계 부당대출 중 정상채권도 부실화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이미 적발된 350억원 중 84.6%가 부실화됐기 때문이다.

이번 정기검사에서 추가로 확인된 부당대출을 포함해 전체 부당대출 중 338억원(46.8%)이 부실화됐다.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된 부당대출 451억원 중 123억원(27.3%)이 부실화됐다.

이미 적발된 350억원 중 대부분이 부실화된 점을 미뤄 볼 때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되고 정상으로 분류된 328억원도 향후 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금감원은 “장기간 다수 부당대출이 취급되는 동안 금융지주 차원의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또 고위 임직원 부당대출 총 1604억원 중 1229억원(76.6%)도 부실화됐다.

박 부원장보는 “부실화는 은행에서 이미 부실채권으로 분류한 것으로 연체가 1달 이상 된 경우”라며 “실질적으로 담보가치가 크지 않아 많은 금액이 손실처리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금감원은 손 전 회장이 행장 재임시절 대폭 완화시킨 여신 관련 징계기준을 현재까지 방치해 여신 관련 사고자 상당수가 견책 이하의 경징계를 받는데 그쳤다고 지적했다.

또 징계예정자에 대해 합리적 기준 없이 제재 완료 전 포상·승진을 시행함으로써 인사의 공정성을 저해하고 징계 효과가 면탈된 사례도 있었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손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혐의를 인지하고도 이를 금융당국에 5개월간 미보고했고 이에 따라 금감원 검사 및 검찰수사도 지연됐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정기검사를 통해 확인된 부당대출 취급 등 위법사항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 제재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부원장보는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을 포함한 경영진 제재 가능성에 대해 “검사 결과에 따라 살펴볼 부분”이라며 “법 위반여부를 떠나서 이러한 행태 자체가 굉장히 좋지 않다고 판단해 공유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또 추가로 부당대출에 연루된 경영인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연루가 확인된 부분은 없다”며 “사후처리 과정에서 꼼꼼히 살펴볼 예정”이라고 답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