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SKT, 사피온-리벨리온 합병 추진…경영권 양도·고용승계 논의 중

NSP통신, 최정화 기자, 2024-06-12 16:15 KRX8EM
#SK텔레콤(017670) #사피온 #리벨리온 #AI반도체 #KT(030200)

3분기내 본계약…연내 통합법인 출범

NSP통신-SKT, 계열사 사피온과 리벨리온 합병 추진 (사진=SK텔레콤, 리벨리온)
SKT, 계열사 사피온과 리벨리온 합병 추진 (사진=SK텔레콤, 리벨리온)

(서울=NSP통신) 최정화 기자 = SK텔레콤이 계열사 사피온과 AI반도체 스타트업 합병을 추진하고 경영권을 양도한다. SKT는 양사 통합법인이 출범하면 경영에서 물러나 전략적 투자자로서 협력관계를 지속할 방침이다.

12일 SKT는 AI반도체 계열사 사피온코리아와 스타트업 리벨리온 간 합병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SKT 측은 이번 합병 추진 취지에 대해 “국내 AI반도체 기업간 대승적 통합을 통해 글로벌 AI인프라 전쟁에 나설 국가대표 기업을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G03-9894841702

합병 이후 SKT는 전략적 투자자로 합병법인의 글로벌 AI반도체 시장 진출과 대한민국 AI반도체 경쟁력 향상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사피온의 주주사인 SK스퀘어와 SK하이닉스도 대한민국 AI반도체 발전을 위해 합병법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SKT 관계자는 “양사는 향후 2~3년을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승기를 잡을 골든타임으로 보고 빠른 합병이 필요하다는 판단했다”며 “그동안 사피온코리아와 리벨리온이 NPU 시장에서 증명해온 개발 역량과 노하우를 하나로 모아 새로운 합병법인이 글로벌 AI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합병 추진은 실사와 주주동의 등 필요한 절차를 거쳐 3분기 중으로 본계약 체결을 마무리하고 연내 통합법인을 출범시킬 계획이다.

통합법인은 리벨리온이 경영을 맡는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대기업보다는 스타트업이 시장 상황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NSP통신이 SKT와 리벨리온에 취재한 결과에 따르면 새 통합볍인명은 아직 계약 체결 전이며 본계약을 통해 발표 예정이다. 기존 사피온 직원들의 고용승계 방식도 현재 논의 중이며 3분기 내 협의를 거쳐 본계약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SKT 관계자는 향후 통합법인에서의 역할에 대해 “AI 업종 특성상 스타트업이 운영을 하는 게 맞고 리벨이온이 그간 잘 해왔다고 판단해 경영을 맡기게 됐다”며 “회사는 전략적 투자자로서 리벨리온과 힘을 합쳐 합병 회사의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리벨리온의 전략적 투자자인 KT도 기술 주권 확보 및 세계적 수준의 AI반도체 기업 탄생을 위해 이번 합병 추진에 뜻을 모았다. KT는 파악된다.

KT 측에 확인해본 결과, 리벨리온의 기존 전략적 투자자로 KT를 포함해 KT그룹이 리벨리온에 투자한 금액은 약 665억원것으로 확인된다. KT 관계자는 통합법인에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그간 리벨리온과 긴밀하게 협력관계를 유지해 왔고 합병법인에서도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사피온은 SKT 내부 연구개발 조직에서 출발해 분사된 기업으로 지난 2022년 SK ICT 연합 3사(SKT·SK하이닉스·SK스퀘어)가 공동 출자해 설립됐다. 지난해 차세대 반도체 X330을 출시하는 등 고성능 AI반도체 개발을 통해 자율주행, 엣지 서비스 등으로 사업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리벨리온은 지난 2020년 박성현 대표와 오진욱 CTO 등이 공동 창업한 AI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으로 기업가치는 8800억원 수준이다. 특히 두번째 제품인 AI반도체 아톰은 지난해 국내 NPU 최초 데이터센터 상용화로 LLM을 가속했으며, 올해 양산에 돌입했다. 현재 거대언어모델 시장을 겨냥한 차세대 AI반도체 리벨을 개발 중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