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현대차·기아,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 ‘로테이터캠’ 공개

NSP통신, 강은태 기자, 2023-09-06 14:45 KRX7
#현대차(005380) #기아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 #로테이터캠 #외부 오염 제거하는 기술

카메라 센서 가리지 않고 흙·먼지·빗방울 등 외부 오염 제거하는 기술

NSP통신-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로테이터캠 작동 과정 (사진 = 현대차)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로테이터캠 작동 과정 (사진 = 현대차)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현대차와 기아가 카메라 센서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공개했다.

현대차∙기아는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 글라스의 회전과 소형 와이퍼를 결합해 외부 오염을 제거하는 ‘로테이터캠(Rotator-Cam)’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

최근 개발 경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로 꼽히는 자율주행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기술적 고도화가 이뤄지고 있지만 센서에 묻은 조그마한 이물질 하나라도 치명적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G03-9894841702

자율주행 기능이 정교하게 작동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센서 클리닝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은 팝업 방식의 노즐을 통해 워셔액을 분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우천시에는 잔존 워셔액이나 누적된 빗방울이 렌즈 표면에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전동식 와이퍼 블레이드를 이용해 오염을 물리적으로 닦아내는 방식은 우천시 물방울을 제거하는 성능은 우수하지만, 이 역시 와이퍼가 카메라 센서의 시야를 가릴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날 공개된 ‘로테이터캠’ 기술은 현대차∙기아가 개발하고 있는 다양한 센서 클리닝 기술 중 하나로, 먼지와 진흙은 물론 물방울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차∙기아는 ‘로테이터캠’을 개발하면서 카메라 렌즈 덮개인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주목했다. 센서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는 구조적 이점 때문이다.

NSP통신-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로테이터캠 상세 부품 (사진 = 현대차)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로테이터캠' 상세 부품 (사진 = 현대차)

한편 ‘로테이터캠’은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와 커버 글라스 하단부에 위치한 워셔액 공급장치, 그리고 고정형 와이퍼 블레이드 등으로 구성된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