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해외시장분석

‘짝퉁’ 천국 인도, 우리기업 지재권 보호에 ‘빨간불’

NSP통신, 도남선 기자, 2013-04-23 23:00 KRD3
#짝퉁 #인도 #위조상품 #지적재산권 #짝퉁단속

2013년 위조상품 판매규모 약 11조 원...주로 중국 등지에서 생산되나 인도인들의 인식은 낮은 편

[서울=NSP통신] 도남선 기자 = 인도인들이 이른바 ‘짝퉁’에 빠지면서 인도의 위조상품시장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기업의 지적재산권보호에도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김세빈 코트라 첸나이무역관은 최근, 인도의 위조상품시장 현황 분석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인도 정부의 규제강화도 지적했다.

최근 인도의 힌두스탄타임스는 인도의 위조상품 판매량은 2010년도 2200억 루피(한화 4조4000억 원), 2011년도 2500억 루피(한화 5조 원), 2012년도 4500억 루피(한화 9조 원) 규모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3년에는 5500억 루피(한화 11조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G03-9894841702

인도상공회의소 사무총장인 D.S 라와트(D.S Rawat)의 발표에 따르면 인도의 주요 위조상품은 자동차 부품, 주류, 컴퓨터 하드웨어, 개인물품, 포장식품, 스마트폰, 담배 등이다.

이 중 75%는 델리에서 생산되고 있다.

NSP통신-인도 주요 위조상품별 지역분포 순위. (코트라, 타임스오브인디아)
인도 주요 위조상품별 지역분포 순위. (코트라, 타임스오브인디아)

라와트 사무총장은 이와 같은 현상이 내구 소비재시장 중 약 25~45%의 판매 손실을 유발시켰다고 전했다.

인도의 한 비즈니스 라인에 따르면 현재 인도 위조상품 제조의 중심지인 델리에는 유명 브랜드 위조상품이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경제전문가 샤라드 미스그라는 “대부분의 위조상품들은 중국으로부터 넘어오며 오프라인 매장뿐만 아니라 많은 소셜 웹사이트를 통해서 판매되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 소비자의 죄의식 없는 위조상품 구매도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델리의 리복 판매부장인 아쇼크 타르와니는 “현재 위조상품들은 기존 브랜드를 위협하며 가장 큰 문제는 소비자들이 위조상품에 대한 지식이 없어 죄의식 없이 구매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인도 정부는 위조상품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지만 방대한 위조상품시장을 관리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타임스오브인디아 자료에 따르면 첸나이에는 뭄바이, 델리에서 대량으로 찍어낸 스마트폰, 화장품, 자동차 부품 등의 위조상품이 범람하고 있다.

인도 지적재산권단속당국(EIPR)에 따르면 부문별 위조상품 판매규모로 구분할 때 첸나이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2위, 화장품에서 3위 그리고 자동차 부품에서 4위를 기록하고 있다.

인도상공회의소(FICCI) 책임자인 P.C자(P.C Jha)는 이와 관련해 “현재 첸나이에서 유통되는 전체 소비상품의 25%는 가짜”라고 언급했다.

또 그는 대부분의 위조 화장품은 델리나 뭄바이로부터 내려오며 위조 휴대전화와 전자제품은 중국으로부터 건너온다고 덧붙였다.

지적재산권 단속당국(EIPR)의 부회장인 사티쉬 쿠마르는 “첸나이는 위조상품을 밀수입하기에 가장 좋은 곳”이라고 강조하며, 향후 더 치밀한 방법으로 위조상품이 개발될 것으로 전망했다.

첸나이는 위조상품 압류 건수가 지난 2011년부터 계속 증가해 2011년 27건, 2012년 85건, 올해 1~3월간은 총 31건을 기록했다.

김 무역관은 위조상품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지적했다.

Mail Online India의 자료에 의하면 주요 품목 중 상당 부분이 회색시장을 통해 유통되고 위조상품들도 회색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주요 품목별 회색시장 거래율은 자동차 부품(29.6%), 주류(10.2%), 컴퓨터 하드웨어(26.4%), 개인물품(25.9%), 포장식품(23.4%), 모바일폰(20.8%), 담배(15.7%)임. 한 해 회색시장으로 인한 판매 손실은 약 7296억9000만 루피(약 14조6000억 원) 규모에 이른다.

지난해 인도 정부 또한 이러한 회색시장 거래로 2619억 루피(약 5조2380억 원)의 세수 손실을 겪었다.

라이브민트(LiveMint)의 자료에 따르면 다부르(Dabur)와 ITC 등과 같은 인도 유명 브랜드는 매년 중국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위조상품으로 50억 달러 규모(한화 5조5000억 원)의 판매 손실이 있었다고 밝혔다.

다부르 사는 지난해 매출액 10억 달러(한화 1조1000억 원) 판매를 달성한 천연 화장품 제조회사다.

이처럼 위조상품들이 중국에서 만들어지면서 ‘Made in India’라는 태그를 달고 세계로 버젓이 수출되고 있어 인도산 제품에 대한 이미지 저하도 우려되고 있는 형편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위조품 제조업자들이 불법적으로 상품을 제조하는 것에 대해 별다른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있다.

NSP통신-위조 상품 감별 스캐너. (코트라, BBC뉴스)
위조 상품 감별 스캐너. (코트라, BBC뉴스)

영국 BBC 뉴스자료에 따르면 최근 인도 내에서 만들어지는 가짜 약은 일반적인 소비자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환자들이나 임산부 등 노약자에게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독약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가짜 약을 유통하는 것은 작은 돈을 투자해 높은 이익을 창출한다는 이점이 있어서 많은 위조제품 제조업자들이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다.

현재 인도 내 시장에 유통되는 약 중에서 약 25%는 가짜 약으로 판명되고 있다.

이에 인도 정부는 가짜 약 판매를 방지하기 위한 스캐너를 개발해 약국에 보급하는 등 각국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도 보건복지부는 가짜 약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약회사에 각 제품에 대한 고유 바코드를 입력을 승인받았다.

이에 소비자는 스캐너를 이용해 진품 여부를 바코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김 무역관은 위조상품에 대한 인도 정부의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인도 산업계는 중국으로부터 넘어오는 수입 위조상품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유통되는 위조상품에 대한 규제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도 상공회의소(FICCI)는 인도 내 위조상품의 만연으로 정당한 기업활동을 하는 인도 기업의 투자의욕이 크게 위축된다고 주장하며, 인도 정부의 시급한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김 무역관은 이같은 인도의 위조상품 만연은 인도인들이 위조상품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김 무역관은 “현재 인도 내 위조상품과 관련한 가장 큰 문제는 이러한 위조상품에 관한 소비자 인식이 부족한 것”이라며 “위조상품은 인도 내 공정경쟁체제를 무너뜨리고 국가와 기업 이미지 훼손과 각종 외교통상 마찰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위조상품들로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잃을 뿐만 아니라 의약품과 같은 특정 제품의 경우 소비자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으므로 인도 정부는 이러한 측면에서 인도인에게 위조상품과 관련된 교육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무역관은 “우리 기업은 인도의 지적재산권 보호수준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해 관련 피해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도남선 NSP통신 기자, aegookja@nspna.com
<저작권자ⓒ 국내유일의 경제중심 종합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