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2030 세대 83%, 미래 일자리 감소 우려…65.7%, 10년내 자율주행차·AI 생활화

NSP통신, 이복현 기자, 2021-05-02 11:00 KRD7
#미래일자리 #자율주행차 #AI생활화

24년까지 자동차, 조선 등 주요 10개 업종 70.6만개 일자리 상실 위험

NSP통신-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2·30대 젊은 층 대부분(83.0%)이 우리나라가 미래산업 사회에 진입하면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세계경제포럼(WEF)의 미래 일자리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국의 주요 10개 업종의 일자리 전환 영향을 추정한 결과 2024년까지 약 70만6000개의 일자리가 상실 위험에 처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하여 전국 2·30대 남녀 829명을 대상으로 미래산업 일자리 변화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43.4%는 일자리가 대폭 줄어들고, 39.6%는 일자리가 소폭 줄어든다고 답해 응답자 83.0%가 미래산업 사회에서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산업 사회의 단점에 대해서는 공장자동화 등에 따른 일자리 감소(36.0%)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미래산업 사회의 장점으로는 효율성·편리성 제고(40.6%)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G03-9894841702

자율주행자동차, 인공지능(AI) 등이 생활화되는 미래산업 사회의 진입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5.7%가 우리나라가 10년 이내에 진입할 것이라고 답했다.

미래산업 사회에서 일자리가 가장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직무를 물어본 결과 생산직이라는 응답이 6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사무직(14.6%), 기술·기능직(11.4%), 영업직(2.9%)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이는 글로벌 컨설팅회사 PWC가 발표한 보고서(Will robots really steal our jobs?, 2018)에서 로봇, AI 등이 보편화되면서 기계 조작 및 조립 직무, 단순 사무직, 단순 노무 종사자 분야의 일자리가 없어질 확률이 높다는 것과 유사하다.

미래산업 사회에서 일자리 확보를 위한 시급한 대책을 묻는 질문에는 유연한 노동시장 제도 도입이 30.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제도 개선(26.2%), 미래산업 사회 진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해자 대책(23.5%), 규제 완화 및 인프라 정비(16.2%)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전경련은 미래산업 트랜드 변화에 따른 사회 일자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근로자가 협력하여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세계경제포럼(WEF)은 2020년 10월 발간한 ‘일자리의 미래 2020’(The Future of Jobs) 보고서에서 전 세계 26개국의 291개사 비즈니스 리더에 대한 설문조사와 관련 데이터 분석을 통해 2024년까지 산업별 일자리 영향을 파악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 주요 업종 중 일자리 전환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10개 업종에 적용해 전경련에서 추정한 결과, 2018년 기준 전체 833만 명의 종사자 중 16.1%에 달하는 133만 8천 명이 일자리 전환 위험에 노출돼 있었다.

이 중 52.7%인 70만6000명은 성공적인 일자리 전환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우리 주력산업인 자동차 분야는 전체 35만명의 종사자 중 10%가 넘는 3만 7000명이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내연기관에 비해 부품 수가 크게 줄어든 전기차로의 전환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주요 요인으로 보이며, 향후 자율주행차가 활성화 될 경우에는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서비스업에서도 도·소매업(27.4만명), 운수·보관(8.6만명), 금융·보험(7.3만명) 등 업종에서 온라인·비대면 시장 확대, AI·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자동화 설비 및 무인 서비스 도입 확대로 일자리 상실 위험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전경련 유환익 기업정책실장은 “저탄소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 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 확대에다 코로나 19 영향까지 겹치면서, 미래산업 사회에서는 2030 세대의 일자리 환경이 지금보다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면서 “정부는 노동시장을 유연화하여 원활한 일자리 전환 환경을 조성하고, 인재 양성 측면에서도 STEM* 교육과 같은 미래산업 수요에 맞는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노사 양측은 기존 인력 재교육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전직·재배치 등을 통해 일자리를 지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NSP통신 이복현 기자 bhlee201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