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효성, 美 MIT 공대와 새 비즈니스 모델 발굴

NSP통신, 윤민영 기자, 2019-01-30 20:21 KRD7
#효성(004800)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MIT #스타트업
NSP통신-라파엘 고메즈-밤바렐리 교수가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신소재 개발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효성)
라파엘 고메즈-밤바렐리 교수가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신소재 개발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효성)

(서울=NSP통신) 윤민영 기자 = 효성(004800)이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석학 연구진과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섰다.

MIT 교수진과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 6곳은 지난 29일 효성 본사에서 ‘MIT ILP(산학연계프로그램) 세미나’를 개최했다.

조현준 효성 회장은 “효성은 원천기술 확보와 기술 혁신을 지향해온 기업이다”라며 “미래에는 기술의 혁신과 더불어 경계를 구분하지 않는 기술 융합이 성장 동력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다”고 밝혔다.

G03-9894841702

또 조 회장은 “향후 세계 최고 석학과 연구진들과 정기적인 세미나를 개최해 트렌드를 앞서나갈 수 있는 기술 교류를 지속할 것이며 효성 원천기술과의 협업으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MIT ILP는 글로벌 기업들과 MIT 연구진이 비즈니스 협력 관계로 상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MIT는 참여 기업에게 정보통신기술(ICT), 신소재, 첨단제조,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 및 연구 결과 등을 소개하고, 기업은 MIT의 연구진과 지속적인 기술 및 정보를 교류한다. 현재 한국기업으로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그룹, 두산중공업, 삼양그룹 등이 ILP에 참여하고 있다.

세미나에서 MIT는 재료과학공학부 폴리나 아니키바(Polina Anikeeva) 교수, 라파엘 고메즈-밤바렐리(Rafael Gomez-Bombarelli) 교수가 강연자로 참석했다. 효성에서는 특허, 중합연구, 전략 실무진이 참석해 효성의 원천기술과 MIT의 혁신기술 융합을 통한 성장동력을 모색했다.

NSP통신/NSP TV 윤민영 기자, min0news@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