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강신윤 기자 = 국내 최대의 송이 산지인 영덕군에서 '송이버섯 생태환경 보고서'를 발간하고 송이에 대한 생태와 기상에 관한 실체를 규명했다.
송이가 가장 잘 서식할 수 있는 것은 17 °c 내외의 소나무 단순림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8월에 0.7%, 9월에 38.6%. 10월에 48.1%, 11월에 12.7%가 자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송이가 가장 활발하게 생산되는 시기는 대부분 9월 초순경부터 10월 중순으로 송이 생산일수는 연평균 28.1일로 적정한 온도, 습도가 조화를 이뤄야 왕성하게 자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내 최초로 송이의 기후 및 기상에 의한 서식조건과 생산량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향후 정부차원의 송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단순 생산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생산이 기대됐다.
송이의 서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기후요인으로 특히 기온이 결정적 영향을 주며 송이가 가장 잘 자랄 수 있는 온도는 17도 가량으로 확인됐다.
습도와 강수량도 영향을 주지만 기온에 비해 현저히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송이생산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10.8℃∼14.0℃ 범위였고 강수량은 1000㎜∼1400㎜의 범위로 조사돼 송이 수량과 연평균강수량, 연평균기온과의 관계는 일정한 함수관계가 성립됐다.
최고기온 유효 온도범위는 18.5∼25.2℃, 꼭짓점 온도는 22.1℃이며 평균기온 유효 온도범위는 14.8∼19.5℃, 꼭짓점 온도는 17.1℃로 송이가 가장 서식하기 좋은 온도가 17℃로 밝혀진 것이다. 최저기온 유효 온도범위는 9.2∼16.5℃로 꼭짓점 온도는 12.8℃ 로 나타났다.
월별 강수와 기온은 송이생산량과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6월 강수량이 많을수록 발생량도 증가했고, 6월 기온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송이 발생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8월 강수량이 많고 기온이 높을수록 발생량은 증가했고 9월의 강수 일수와 강수량의 영향은 중요했다. 이 두 요소는 송이의 생산량 증가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2009년 처럼 9월 강수가 극단적으로 부족할 때는 대흉작이 됐다.
최저온도 19℃ 내외에서 송이 균사가 온도자극으로 원기(原基)를 형성했을 때, 최저온도가 재 상승해 30℃를 넘으면 고온에 약한 균사는 사멸한다. 이 경우 고온장해(高溫障害) 때문에 흉작이 되고 충해(蟲害)송이가 많이 발생하는 등 품질도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우리나라 송이는 8월에 0.7%, 9월에 38.6%. 10월에 48.1%, 11월에 12.7%가 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송이는 대부분 9월 초순경부터 10월 중순까지 발생한다. 송이 생산일수는 연평균 28.1일로 연도별로 큰 차이는 없지만 지역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최근 송이 발생지역은 주로 낙동정맥과 백두대간 등이 주를 이루며 2000년~2005년의 송이 생산량을 도별로 비교해보면, 경북도가 전국 생산량의 약 65%, 강원도가 약 27%를 차지해 90% 이상이 이 두 지역에 집중됐다.
2005년 전후까지 송이 주산지로는 경북도의 영덕, 울진, 봉화와 강원도 양양, 삼척 등이며 2006년 이후에는 강원지역의 송이 생산량이 급감했고 최근에는 영덕, 울진, 봉화, 청송, 포항지역으로 주산지가 축소되고 있다.
송이의 발생지역은 점차 줄어드는 경향으로 1970년대 초반에는 경기도(가평, 광주), 충청남도(예산), 전라남도(담양, 함평, 화순)에서도 송이 수매가 이루어졌지만 지금은 이 지역에서는 송이 수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생산규모에 따른 지역 순위는 해당 연도의 온도와 강수량 등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강원지역의 생산량 급감은 산불 피해와 기후온난화 등의 영향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송이생산량은 연평균 219.0톤 가량이다. 연도별로 2010년 628.3톤으로 가장 많았고, 2012년 409.8톤, 2006년 275.9톤 2007년 231.6톤 2015년 184.6톤 2014년 126.4톤 2013년 103.0톤 2008년 98.0톤 2011년 85.7톤 2009년 59.1톤 순으로 많았다.
연구조사대상 기간 중 생산량이 가장 많았던 2010년은 연평균의 약 3배, 두 번째로 많았던 2012년은 연평균의 약 2배였고, 생산량이 가장 적었던 2009년은 연평균의 1/4배 정도로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온도와 습도 및 강수량과 밀접한 관계로 추정됐다.
흥미로운 것은 태풍이 송이 산지를 강타했던 2010년과 2012년은 송이생산량이 매우 많았는데 송이 산지에 태풍의 영향이 거의 없었던 2009년에는 송이생산량이 급감했다.
월별 생산량은 10월이 48.1%.(254.0톤)으로 가장 많았고, 9월 38.6%(204.0톤), 11월 12.7%(66.9톤), 8월이 0.7%(3.4톤) 순서로 생산됐으며 8월과 11월에도 송이는 나오지만 생산량은 매우 적었다.
이번 연구는 과거 10년간의 송이생산량과 기후관련자료(2006년 ∼ 2015년)를 수집하여 분석했고 조사대상지역은 대표적 송이 산지로 알려진 14곳을 선정했다.
경북의 7개소(영덕, 울진, 봉화 안동, 청송, 포항, 청도) 강원 6개소(인제, 홍천, 강릉, 양양, 삼척, 고성) 경남의 1개소(거창) 등으로 선정됐다.
NSP통신/NSP TV 강신윤 기자, nspdg@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