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말 뿐인 기술신용대출…기술금융 72%가 보증·담보, 신용대출은 28%에 그쳐

NSP통신, 강은태 기자, 2015-04-07 10:14 KRD7
#김기준 #기술신용대 #보증·담보대출 #TCB대출 #국회 정무위원회

국회정무위 김기준(새정치연합 양천 ‘갑’) 의원 지적

NSP통신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담보와 자금력은 떨어지지만 기술력 있는 벤처·창업기업을 위한 기술신용대출(이하 TCB대출)의 72%가 보증 및 담보 대출로 드러나 말만 기술신용 대출이라는 비난에 직면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기준 새정치연합 국회의원(서울 양천구‘갑’지역위원장)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국내은행의 기술신용대출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급증한 기술신용대출의 72%가 보증 및 담보 대출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결국 기술신용대출 활성화로 은행의 담보·보증 관행을 개선하겠다는 정부의 발표가 공염불이 됐다는 의미다.

G03-9894841702

이와 관련 김기준 의원은 “말만 기술신용대출이지 보증·담보 대출 비중이 70%가 넘는다”며 “실적 부풀리기 위해 사실상 기존에 거래하던 우량기업의 담보대출을 기술신용대출로 바꾼 것에 불과한 무늬만 기술금융이다”고 혹평했다.

◆기술신용대출 현황

NSP통신
NSP통신

지난 해 7월부터 실시된 기술신용대출(이하 TCB대출)의 2월 기준 총액은 13조5033억 원으로 2월에만 전월대비 26% 증가한 2조 7583억 원의 실적을 올렸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해 1월,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술평가시스템 구축방안’을 수립하고, 은행이 담보·보증 중심의 영업 관행에서 벗어나 기술신용평가를 통한 신용대출을 대폭 유도하는 ‘기술신용대출 활성화’ 사업을 중점사업으로 추진했고 기술금융은 현 정부 금융정책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지난해 하반기 실시된 8조 9247억 원의 TCB대출을 유형별로 분석했더니 담보·보증 형태의 기술신용대출이 72%를 차지했다.

담보대출과 보증대출이 각각 53%, 19%를 차지했고, 신용대출은 불과 28%에 그쳤다. ‘기술신용대출’이라는 말이 무색할 지경이다.

특히 지난 해 말 기준, 전체 기업대출에서 신용비중이 46%였음을 고려하면, TCB대출의 신용비중은 기존 대출보다 더 떨어진 셈이다.

중기대출만 보면 신용비중은 35%, 개인사업자를 제외한 중기대출에서 신용비중이 44%로 기존 중기대출보다 신용비중이 더 하락한 것이다.

TCB대출 활성화를 통해 중기대출에서 담보·보증 관행을 개선하겠다는 정부의 취지가 무색할 정도다.

실제 중기대출에서 신용비중은 TCB대출이 시행되기 전 36%(44%, 개인사업자 대출 제외)에서 지난 해 34.9%(42.9%)로 오히려 떨어졌다.

은행 중에서 TCB대출 실적이 가장 좋은 기업은행의 신용대출 비중은 17%에 불과했고, 담보대출 비중은 59%로 가장 높았다.

NSP통신

TCB대출이 시행된 지난 하반기 중기대출은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거의 늘지 않았다. 중기대출은 3.1% 늘었지만 자영업자(개인사업자)를 제외하면 불과 1.5%(4.7조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반면 가계대출은 중기대출의 6배가 넘는 30.2조원 증가해 TCB대출 급증이 중기대출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TCB대출이 9조원 늘었는데, 중기대출은 이의 절반(4.7조원) 밖에 증가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 기존 우량 중기대출을 TCB대출로 이름만 바꾼 것에 불과한 셈이다.

이는 다른 지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TCB대출은 3년 미만 창업기업에 매우 인색했다.

1년 미만 창업기업은 4.7%(금액 기준), 3년 미만으로 확대해도 13.6%에 불과했다. 반면 10년 이상 기업이 58.6%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은행자율 대출의 경우 1년 미만은 3.7%에 불과했고, 10년 이상이 60.1%를 차지했다. 시중은행 중에 실적이 가장 좋아 은행혁신성 평가 1위를 받은 신한은행의 경우 3년 미만 창업기업 비중은 12.1%, 10년 이상 기업은 62.6%로 평균보다 높았다.

NSP통신

한편 TCB대출은 매출액이 낮은 소기업에도 매우 인색했다. 매출액 1억 미만의 소기업은 8%에 불과했고, 50억 미만 까지 확대해도 33.2%에 지나지 않았다. 100억~500억 미만 기업이 33.8%로 가장 많았고, 1000억 이상 대기업도 8.3%에 달했다.

NSP통신/NSP TV 강은태 기자, keepwatch@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