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타보니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 연비·가격·성능 다잡은 SUV

NSP통신, 강은태 기자, 2025-03-27 14:09 KRX2
#KGM(003620) #타보니 #토레스 하이브리드 #연비 #가격
NSP통신-KGM 토레스 하이브리드 (사진 = NSP통신)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 (사진 = NSP통신)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도심 주행 시 94%의 전기차 모드를 구현하고 3000만 원 초반대의 연비, 가격, 성능을 모두 다 잡았다는 KGM(003620)의 토레스 하이브리드 미디어 시승을 통해 연비 체크와 함께 성능을 확인해 봤다.

시승에 사용된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 모델은 새롭게 개발된 1.5터보 가솔린 하이브리드 전용 엔진과 직병렬 듀얼 모터가 적용된 듀얼 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결합시켜 가장 전기차에 가까운 하이브리드 기술을 구현했다.

특히 130kw의 대용량 모터가 구동축에 가깝게 위치한 e-DHT(efficiency-Dual motor Hybrid Transmisson)와 결합해 최고 출력 177마력, 최대토크 300Nm의 성능을 갖췄고 공인 복합연비는 15.7km/L(도심 16.6km/L, 고속도로 14.6km/L)다.

G03-9894841702

◆연비 체크

시승은 서울시 송파구 세곡동의 KGM의 차고지인 KEC를 출발해 경기도 의왕시 백운호수를 경유해 고속도로를 통해 용인시 수지의 스프링 사운즈 카페를 반환점으로 삼는 총 39.4km 구간에서 진행됐다.

또 돌아올 때는 용인시 수지의 스프링 사운즈 카페를 출발해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비를 테스트해보기에 가장 이상적인 최고 속도 50km/h와 60km/h가 계속 이어지는 국도를 따라 송파구 세곡동의 KGM 차고지를 돌아오는 총 18km 구간의 도심 주행 코스에서 진행됐다.

NSP통신-총 39.4km의 고속도로 중심의 시승 후 체크한 15.2km/L (좌)기록과 도심주행 중심의 총 18km 주행 후 체크한 23.6km/L(우) 연비 기록 (사진 = NSP통신)
총 39.4km의 고속도로 중심의 시승 후 체크한 15.2km/L (좌)기록과 도심주행 중심의 총 18km 주행 후 체크한 23.6km/L(우) 연비 기록 (사진 = NSP통신)

시승 후 KGM의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연비는 고속도로 중심의 주행 시 평균 15.2km/L를 기록했고 하이브리드 차량 테스트에 최적화 조건인 도심 주행에선 놀랍게도 23.6km/L로 집계됐다. 특히 1.5터보 가솔린 하이브리드 전용 엔진 밀러(Miller) 사이클 행정과 가변형 터보차저(VGT) 등 15가지의 최신 연비 기술과 실린더 블록 내부에 적용된 최신 코팅 기술로 기존 250bar에서 350bar로 연료를 고압 분사해 출력을 높이고 배출가스는 최소화해 연비 절감과 함께 만족도가 좋았다.

◆성능 체크

KGM의 토레스 하이브리드에는 대용량 1.83kw 배터리 충전으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했다. 또 하이브리드에 최적화된 12V LFP 저전압 배터리 시스템은 BMS(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일체형으로 ▲슬립모드 전환 등 방전 사례 최소화 ▲반영구에 준하는 긴 수명으로 편의성 및 경제성 증대 ▲납산 배터리 대비 중량 절감(약 14kg) 효과로 연비 향상 ▲저온 시동성 및 충·방전 성능 우수 ▲방전 보호 기능 적용으로 방전에 따른 Jump 시동의 번거로움이 없는게 특징이다.
특히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초저공해 차량으로 인정받아 제2종 저공해자동차 인증을 획득해 지하철 환승주차장과 공영∙공항주차장 이용료에서 50~80% 감면 혜택 등을 누릴 수 있다.

또 토레스 하이브리드에 탑재된 회생제동 시스템은 3단계 조절이 가능해 시승 내내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었고 스마트 회생제동 설정 시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해 제동력의 강도를 조절해 편리하고 효율적인 주행이 가능했다.

NSP통신-토레스 하이브리드 모델 (사진 = NSP통신)
토레스 하이브리드 모델 (사진 = NSP통신)

한편 토레스 하이브리드 모델에는 동급 최고 수준인 차체의 78%에 초고장력·고장력 강판(340Mpa 이상)이 사용됐고 HPF(Hot Press Foaming) 공법을 적용해 차체 강성과 안전성이 좋으며 긴급하게 차량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구조 장치와 비상 경광등의 기능을 하나로 합친 이머전시 이스케이프 키트(T7모델)를 기본으로 제공하며 1열 파사이드 에어백과 운전석 무릎 에어백 등 동급 최다 8 에어백 탑재 등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