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원주시, 공공기관 2차 이전 앞두고 ‘전면전’…혁신도시 거점화 전략 강화

NSP통신, 조이호 기자, 2025-08-20 11:54 KRX5
#원주시 #원주시청 #원강수시장 #공공기관2차이전 #혁신도시

2019년부터 치밀한 준비…의료·반도체·바이오 산업 성장과 연계한 맞춤 유치전

NSP통신-원주시가 공공기관 2차 이전을 대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 원주시)
원주시가 공공기관 2차 이전을 대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 원주시)

(강원=NSP통신) 조이호 기자 =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정책이 공식화되면서 강원 원주시(시장 원강수)가 ‘혁신도시 2.0 시대’를 열기 위한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원강수 시장은 “이전은 단순한 지역 간 경쟁이 아니라 국가 균형발전의 생존 전략”이라며 “원주는 이미 준비를 마쳤다”고 강조했다.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공공기관 2차 이전 균형성장 거점 육성’ 과제가 발표되면서 원주시의 오랜 준비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G03-9894841702

시는 지난 2019년부터 관련 연구용역을 통해 23개 기관 유치 전략을 수립했고 2023년에는 공공기관유치TF를 가동하며 대응 조직을 확대했다. 올해는 건강·생명, 자원·산업, 문화·체육, 국방·통일, 공공서비스 분야 등 63개 기관을 목표로 세분화된 전략을 재정비했다.

강원 혁신도시는 국립공원공단을 비롯해 1차 이전 기관들이 이미 안정적으로 정착해 있으며 교통·교육·주거 등 정주여건은 전국 혁신도시 중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2024년 혁신도시 정주여건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국 3위를 기록했다. 원주시는 이 같은 인프라를 토대로 추가 기관 이전에도 충분한 수용 능력을 갖췄다고 자신하고 있다.

NSP통신-원주시가 공공기관 2차 이전을 대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 원주시)
원주시가 공공기관 2차 이전을 대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 원주시)

시는 단순히 계획 수립에 그치지 않고 수도권에 있는 공공기관 20여 곳을 직접 찾아다니며 강원 혁신도시의 입지 장점을 설명하고 기관 맞춤형 정착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또 ‘원주시·이전공공기관 협의체’를 출범해 이전 기관과 이주 직원의 의견을 반영하는 소통 구조를 마련했다.

시는 공공기관 이전이 단순 행정 기능의 분산이 아니라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 원주는 의료기기 산업 수출 전국 2위(2024년 기준)를 기록했고 글로벌 AI 기업 엔비디아 인증 교육센터 유치, 국내 최초 공공형 반도체 교육기관 운영, 바이오·제약·반도체 기업 투자 확대 등 첨단 산업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 중이다. 이는 이전 기관의 역할과 기능적 연계를 강화하는 데 긍정적 기반이 될 전망이다.

시는 개별 유치전만이 아니라 전국혁신도시협의회와의 공동 대응에도 힘을 쏟고 있다. 지난 5월 국회에서 열린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촉구 결의대회’에 참여해 혁신도시 간 연대를 재확인했으며 앞으로도 공동 건의문 채택과 공동 홍보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원강수 시장은 “원주는 이미 의료·바이오·반도체 산업이 성장하며 국가 혁신 거점으로 발돋움하고 있다”며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이뤄지면 산업과 행정 기능이 맞물리며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