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륜
최강 기수는 25기…임채빈·이재림 등 특선급 12명 포진(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현재 경륜 선수는 558명이다. 그중 가장 높은 등급인 특선급은 79명이다. 그중 20기 이후가 55명(약 70%)으로 20∼30대 젊은 선수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강 기수를 꼽는다면 25기로 임채빈(25기, SS, 수성), 이재림(25기, S1, 신사), 김태범(25기, S1, 김포) 등 가장 많은 12명이 특선급에 포진되어 있다.
임채빈은 2019년 경륜훈련원을 조기졸업하고 신인 시절부터 승승장구해 전무후무한 89연승 등을 비롯해 한국 경륜의 모든 역사를 새로 쓰다시피 하고 있다.
이재림(25기, S1, 신사) 역시 25기다. 이재림은 ‘마크 전법의 교과서’라 불리는 박일호(10기, A1, 구미)의 뒤를 이을 선수로 손꼽히고 있다. 특히나 지난해에 비해 득점 순위가 12계단이나 올라 성적 18위를 달리고 있어 2∼3위권 복병으로 주목받는 중이다.
다음은 22기과 23기는 각각 7명으로 22기 중에서는 양승원(22기, SS, 청주), 23기 중에서는 전원규(23기, S1, 동서울)가 가장 돋보이는 선수다.
최근세 상승세가 무서운 김옥철(27기, S1, 수성), 김우겸(27기, S1, 김포) 등 27기도 7명이다. 김옥철은 지난 16일 창원에서 열린 특별경륜 준결승전에서 임채빈과 함께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히는 정종진을 꺾고 1위를 차지하며 모두를 놀라게 하기도 했다. 김우겸 또한 지난해 전체 순위 25위 정도였으나 현재는 10위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절정의 기량을 과시하고 있다.
그 외 기수들도 점차 세력을 넓혀가고 있는데, 이중 주목할 기수는 단연 28기다. 지난해 경륜에 첫발을 디딘 28기는 1년 만에 6명이 특선급에 이름을 올렸다.
비록 낙차 부상으로 기세가 약간은 떨어졌으나 다시 상승세가 시작된 28기 수석 졸업생 손제용(28기 S2, 수성), 차석이지만 신인상을 차지한 석혜윤(28기, S1, 수성)이 가장 눈에 띄는 선수들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수적으로 우세하고, 질적으로는 영남권이 우세한 편이다.
수도권의 대표적인 팀은 김포팀, 동서울팀이다. 이중 ‘경륜 황제’ 정종진이 이끄는 김포팀 소속 특선급 선수는 20명으로 전체 팀 중에서 가장 많다. 김포팀은 특정한 훈련 방식, 전법을 고수하기보다는 개인별 장점을 극대화하는 훈련을 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로 인해 단연 수적으로 압도적이면서 전술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어 김포팀 선수들이 많이 출전한 경주에서는 탄탄한 조직력을 선보이는 경우가 많다.
한편 수도권 맞수 동서울팀은 11명으로 수적으로 밀리지는 않으나 올해는 부진을 거듭하고 있다. 상반기 세 차례 열린 대상 경륜 특선급 결승전에서 입상한 선수가 전혀 없었고 심지어 두 차례는 결승전에 오른 선수가 단 한명도 없었다. 경륜 8학군이라는 별명이 무색할 정도다.
영남권 대표 수성팀은 12명으로 김포팀에 비해 수적으로는 열세다. 하지만 선수들의 면면을 보면 절대 밀리지 않는 모습이다. 그 중심에는 단연 임채빈이 있다.
또한 올해 하반기 슈퍼특선에 다시 오르며 제2의 전성기를 맞은 류재열(19기, SS, 수성)을 비롯해 김옥철(27기, S1, 수성), 손제용(28기, S2, 수성), 석혜윤(28기, S1, 수성) 등 수성팀 그 누구도 만만히 볼 선수가 없을 정도다.
예상지 명품경륜 승부사 이근우 수석은 “현재 특선급은 20기 이후 선수들이 젊은 패기를 앞세워 장악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정종진의 김포팀, 임채빈의 수성팀 소속 선수들이 두 선수의 장점을 잘 흡수하며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