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들어보니

잇몸 질환과 암의 연관성은?

NSP통신, 강은태 기자, 2021-09-13 14:33 KRD7
#유디치과 #잇몸 질환 #암 #박대윤 #유디두암치과

박대윤 치과전문의 “치주질환 방치하면 안 돼”

NSP통신-박대윤 치과전문의(유디두암치과의원 원장) (유디치과)
박대윤 치과전문의(유디두암치과의원 원장) (유디치과)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잇몸질환과 암과의 연관성, 그리고 초기발견과 치료 방법 등에 대해 박대윤 치과전문의에게 들어봤다.

그는 “입안 세균이 치아와 잇몸만 상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대개 잇몸 부위 염증(치은염)에서부터 시작하는 치주 질환은 잇몸이 검붉게 변하고 피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라며 “이 작은 염증 하나에서 시작된 균이 실제로는 여러 암을 유발하기 때문에 입안 세균을 결코 얕봐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전신건강과 연결된 치주질환, 초기 발견과 치료 중요

G03-9894841702

국민질병 1위인 치주질환은 세균에 의해 나타나는 염증 질환으로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없어 방치되기 쉽다.

이로 인해 치아가 흔들리고 음식을 씹을 때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을 느껴 치과에 내원한 후에는 상당 부분 악화된 경우가 많고 치료도 어려워진다. 잇몸 뼈가 녹아내린 경우 자연치아를 뽑고, 임플란트를 심거나 틀니를 해야 한다.

때문에 치주질환은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주질환이 더욱 위험한 이유는 전신건강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구강을 통해 유입된 세균과 세균에 의한 염증 반응물질, 대사산물이 잇몸이나 치조골에 형성된 혈관 안으로 침투해 혈류를 타고 다니며 면역체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치주 질환이 있으면 염증성 물질이 전신으로 퍼지면서 암세포 증식을 도와 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잇몸질환 환자 위암, 인후암 발생률 높아

구강 세균이다 보니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부위는 식도와 위다. 실제 미국 보스턴 하버드 보건대학원 연구팀은 여성 약 9만8000명, 남성 약 4만9000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연구팀이 연구대상자의 건강을 살펴본 결과 238명이 위암에 199명이 인후암에 걸렸다. 그중 치주질환을 앓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 보다 위암 발생률이 52%, 인후암 발생률이 43% 높았다.

또한 치아가 두 개 이상 빠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 보다 위암 발생률이 33%, 인후암 발생률이 42% 증가했다.

박 치과전문의에 따르면 입, 식도, 위가 모두 연결되어 있고 소화에 중요한 기관들이기 때문에 어느 한 곳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기관에 영향을 준다.

더불어 잇몸 건강이 나쁜 사람은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박테리아가 증식하기 쉽고, 잇몸질환이 오래될수록 암이 발생할 확률이 커지기 때문에, 치과를 방문해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올바른 칫솔질과 치실을 자주 사용해 구강을 잘 관리하고, 모든 연령에 적합한 암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NSP통신-치아 세균 이미지 (유디치과)
치아 세균 이미지 (유디치과)

◆위암의 원인균 헬리코박터균 치료 시, 잇몸치료 같이하면 효과 높아

한국인들에게 많이 발견되는 위염이나 위암 등의 원인균으로 지목되는 것 중 한 가지가 헬리코박터균이다.

입을 통해 감염될 수 있고 음식을 한 그릇에 놓고 수저나 젓가락을 이용해 같이 나누어 먹는 식습관에 따라 가족 내 감염도 많이 발생한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경우 잇몸치료와 병행하면 제균 효과가 높다. 헬리코박터균은 침이나 치석, 구강점막 등의 부위에서 발견된다. 이때 약물용법 치료 외에도 스케일링으로 잇몸치료를 병행하면 헬리코박터균도 함께 없앨 수 있어 전체적인 치료효과가 높다.

입 속 세균들은 혈관을 타고 다양한 기관으로의 이동하는데, 특별한 이상증세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사전에 꾸준한 관리와 예방을 통해 치주와 입 속 세균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박 치과전문의는 “40대 이상부터 치주질환 유병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입 안의 세균이 다양한 전신질환에 관여하는 만큼 위험 세균이 자라지 않도록 식습관 및 양치질 관리를 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NSP통신 강은태 기자 keepwatch@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