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김대원 기자 = 대경대 연기예술과(한류캠퍼스) 김건표 교수가 세계 공연예술축제인 ‘제22회 부산국제연극제(BIPAF)’ 글로벌 포럼 좌장을 맡아 한국연극의 세계화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국제적인 공연연출 관계자들과 포럼을 이끈다.
이번 포럼에는 한국, 이탈리아, 멕시코, 칠레, 중국 등 6개국이 참여하며 광안리 해수욕장에 위치한 어댑터씨어터 1관에서 오는 25일 개최된다.
포럼의 발제 주제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활동하는 파프리카 유로파 재단의 마우리지아 세템브리 예술감독의 이탈리아 무용, 연극의 동시대성 주제 발제에 이어 중국계림 예술위원회 양슈오 사무총장의 도시공간의 연극성을 주제로 계림예술제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밖에도 멕시코 문화부 국립 예술 창작자 프로그램 국가 예술상 디렉터인 루이스 타레케 오르티즈 시스네로스의 멕시코 국립 예술 창작 시스템의 역할과 이동성을 주제로 발제를 이끌게 되며 칠레 플라데아 페스티발의 국제적 경쟁력과 뉴욕 라 마마 실험 극장 메인 큐레이터인 니키 파라이소의 라마마극장 공연예술의 특징과 부산국제연극제 세계화에 대해 주제 발표를 진행하게 된다.
김건표 교수는 “이번 글로벌 포럼을 통해 부산국제연극제를 통해 한국적인 작품들이 세계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산국제연극제 손병태 집행위원장은 “부산국제연극제가 해외 우수 작품을 국내 관객에게 소개하는 역할 뿐 아니라 한국 공연예술을 세계로 진출시키는 국제공연예술축제의 역할을 부산에서 하게 될 것 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경대 김건표 교수는 연극평론가로 국립극단, 한국연극평론가 협회 이사를 맡고 있으며 ‘맹꽁이 아저씨와 훔쳐보는 연기나라’(1996)를 출판으로 연극평론집 ‘동시대의 연극읽기’ , ‘한국연극의 승부사들’ , ‘장면연기텍스트’ , ‘말과 정치문화’를 펴냈으며 밀양연극축제 조직위원장과 총예술감독을 지낸바 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