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카카오(대표 정신아)가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업 오픈AI와 손을 잡았다.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카카오는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체결을 위한 공동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양사는 AI 서비스 대중화를 위한 ▲AI 서비스를 위한 기술 협력과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협력범위는 향후 확대될 수 있지만 투자규모 및 구체적인 상품 등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우선 카카오톡, 카나나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 오픈AI의 최신 AI기술 API를 활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AI 네이티브 컴퍼니(AI native company)’로의 전환을 가속하고자 챗GPT 엔터프라이즈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카카오는 이번 협력을 통해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한층 강화하게 된다. 양사는 지난해 9월부터 ‘AI 서비스 대중화’라는 동일한 목표 아래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는 현재 개발중인 카나나(Kanana) 서비스에 자체 언어모델과 더불어 오픈AI의 모델도 함께 활용하기로 했다.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관계 형성 및 강화를 돕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다.
특히 양사는 기술 협력에 대해 공동 프로젝트 개발 추진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 AI 서비스 대중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날 간담회에서는 양사의 전략적 제휴 발표와 함께 두 대표의 대담(Fireside chat, 캐주얼한 형식의 토크)도 진행됐다. 정신아 대표와 샘 올트먼 CEO는 협업의 비전과 향후 방향성 등에 대해 다양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AI는 경제적 영향이 어마어마하다”며 “원자력 솔루션 개발, 질병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특히 과학을 위한 AI를 통한 삶의 질이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오픈AI 한국지사 및 스타게이트, 한국정부가 추진중인 국가AI컴퓨팅센터 참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관심은 표명했지만 내용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
정신아 대표는 공동 제품 개발 내용에 대해 “몇 가지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고 구체적으로 형상은 드러나지 않았다”면서 “기본적으로는 톡이든, 웹이든 사용자 니즈가 있는 곳에 중점을 두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