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경기 안양시(시장 최대호)가 개방형 민간화장실에 불법촬영 방지장치를 설치한다.
올 상반기 민간화장실에 대해 안양시가 실태 조사한 결과 상업지역에 소재해 불특정다수가 수시로 이용하는 개방형 민간화장실이 380곳이 있었다.
시는 이중 개선이 필요한 35곳을 선정해 2022년에 안심스크린과 불법카메라 센서 등으로 이뤄진 불법촬영 방지시스템을 화장실내에 설치할 예정이다.
최근 안양의 한 학교 화장실에서 불법촬영 카메라가 발견된 것과 관련, 다시 한 번 디지털성범죄 척결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시는 지난해 ‘N 번방’ 사건을 계기로 디지털성범죄 예방과 피해자 지원을 위해 경기도내 지자체 최초로 디지털성범죄 근절 및 피해자 지원TF팀을 구성하고 안양디지털성범죄피해지원센터를 개소해 운영 중이다.
디지털성범죄피해지원센터는 성범죄로 피해를 입은 자에 대해 심리·법률상담과 수사 및 영상물 삭제, 피해자보호 등의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지난해 5월 개소 이후 현재까지 피해자 108명을 지원했다.
시는 이와 더불어 스마트도시통합센터를 연계한 스마트안전귀가앱을 비롯해 ▲안심거울길 과안심주차장 조성 ▲공중화장실 불법촬영카메라 점검 ▲여성거주자 안심단말기 지원 ▲안심무인택배함 운영 등 여성 및 사회적 약자 맞춤형 안전시스템을 구축해 놓았다.
이중에서도 스마트안전귀가앱은 범죄안전도시 안양시의 전국적 트레이드마크가 됐고 인근지자체와도 공유하고 있는 상태다.
특히 성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는 공중화장실에 대해 철저히 관리해오고 있다. 화장실 불법촬영장치 점검교육을 받은 시민참여단(19명)을 양성해 경찰과 합동으로 공공화장실의 실태를 조사하는 한편 올해 상반기 평촌역과 범계역 등 상업지역의 민간화장실을 집중 살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범죄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 안양을 만드는데 각고의 노력을 다해왔다. 특히 불법카메라 설치가 자주 적발되는 화장실의 범죄예방을 위해 많은 공을 들였다”며 “그럼에도 금번 불미스런 일이 발생해 심히 유감이다. 비록 학교 안에서 벌어진 일이지만 시정의 책임자로서 시민들께 송구할 따름”이라고 밝혔다.
이어 “교육청에 자체 전수조사를 요구했고 재발 방지를 위한 시스템 구축에 최대한 협조하겠다”면서 “단계적으로 모든 개방된 화장실에 대해 불법촬영카메라와 같은 범죄 취약요인이 해소될 수 있도록 민관협력으로 관리 감독 및 지도 점검해 나가겠다”고 했다.
NSP통신 김종식 기자 jsbio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