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IT융합 활용 국내기업 25.3% 뿐…대·중소기업 간 양극화도 심각

NSP통신, 강은태 기자, 2012-06-06 11:00 KRD7
#IT융합 #대기업 #중소기업 #스마트상품 #대한상의
NSP통신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국내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산업계의 IT 활용실태와 향후과제 조사 결과, IT 융합을 통해 스마트 상품을 출시했거나 추진중이라는 기업은 전체의 25.3%에 그쳤다.

규모별로 대기업은 44.6%가 스마트 상품을 출시하고 있는데 반해 중소기업은 16.8%로 조사돼 IT 융합에서도 양극화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동차 관련 업종은 40.6%, 조선업종은 36.7%로 IT 융합의 활용도가 높은 반면, 유통(16.0%), 기계(14.0%), 건설(3.0%) 등의 업종은 활용도가 낮았다.

G03-9894841702

대한상의는 “최근 자동차산업의 경우 첨단 IT 신기술을 기반으로 차량 주변정보와 주행상황을 인지, 판단해 차량을 제어하는 신차를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부품시장에도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NSP통신

기업들의 IT 신기술 활용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카드처럼 주파수를 통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RFID(무선인식) 기술을 업무에 활용중인 기업은 전체의 13.0%였고, 위성위치추적시스템인 GPS 사용기업은 5.0%였다.

NSP통신

개인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이란 구름위에서 정보처리를 하게 한다는 신기술 클라우드 컴퓨팅의 사용비중은 19.7%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문인식 등 생체인식기술은 38.7%, 영상회의는 39.0%, 원격접속제어는 41.0%로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기업은 업무에 RFID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27.2%였지만, 중소기업은 6.7%로 나타났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중이라는 응답도 대기업은 43.5%였지만, 중소기업은 9.1%로 조사돼 신기술 활용에 있어서도 중소기업이 다소 부진했다.

그러나 기업들의 절반 이상(54.3%)은 IT 융합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응답해 앞으로 IT의 활용폭이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됐다.

또 IT 융합을 추진중인 기업을 대상으로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는가라고 물어본 설문에서는 65.6%가 비용절감, 납기일 단축 등 생산성의 향상이 있었다고 답했고, 14.4%는 신제품 개발로 매출이 향상됐다고 밝혔다. 성과가 없었다는 응답은 20.0%였다.

기업들의 50.3%는 IT 융합을 추진하는데 애로사항이 있다고 응답했고 애로가 없다는 응답은 45.7%였다.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IT 융합을 지원하는 컨설팅 전문기관 부족 및 비용부담(60.3%), 최고 경영진의 인식 부족(15.9%), 내부 R&D 역량 및 융합감각을 지닌 인재 부족(13.2%), 성공여부 불확실(9.3%) 등을 꼽았다.

박종갑 대한상의 조사2본부장은 “최근 해외에서는 IT 융합에 따른 전통산업의 스마트화로 제3의 산업혁명이 진행 중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며 “앞으로 IT 융합은 무한대로 신시장을 창출하며 세계 경기회복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 본부장은 “IT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IT 융합을 통해 산업계 전반을 스마트화 할 입체적인 정책지원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IT 자체 경쟁력 보다는 융합 통한 산업 전반의 고부가가치화가 중요

기업들은 IT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해 IT 산업 자체의 경쟁력 강화(20.0%)보다는 IT 융합을 통한 산업 전반의 고부가가치화가 중요하다(80.0%)고 응답했다.

IT 융합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산업계의 IT 융합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제고(37.3%), IT 융합 관련 기술자문, 컨설팅 등 지원(33.3%), IT 융합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17.0%), 융합형 시대에 맞는 인재 양성 및 보급(11.7%) 등의 순으로 꼽았다.

NSP통신

최근 정보통신 정책 기능을 분리해 별도의 정보통신부를 부활시켜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47.0%는 부처간 업무가 중복되고 지원보다 규제가 많아질 수 있다고 답했고 18.0%는 IT 주무부처와 산업정책 부처가 나뉘어져 IT 융합을 지원하는데 비효율적이다라고 응답했다.

한편, 정보통신부 부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65.0%의 기업은 정보통신부 부활에 반대한다고 응답했고 IT 산업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찬성입장의 기업은 35.0%에 그쳤다.

강은태 NSP통신 기자, keepwatch@nspna.com
<저작권자ⓒ 국내유일의 경제중심 종합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