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점진적 금리상승 영향 제한적 · 안정적 가계부채 유지 중요

NSP통신, 김태연 기자, 2017-06-14 07:29 KRD7
#가계부채

(서울=NSP통신) 김태연 기자 = 가계부채가 국내 경제 및 금융시스템의 위기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하지만 가계 대차대조표와 현금흐름 분석, 가구의 자산 및 부채 분포 등을 분석한 결과 위험 가능성은 있으나 가계와 금융시스템의 위기 상황은 아니라고 예상된다.

부채의 증가속도가 문제지 부채의 총량은 아직 통제 가능한 수준이다. 가계부채에 대한 단편적인 위기 해석은 경계될 필요가 있다.

G03-9894841702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 현재 1356조원으로 전년대비 11.1% 증가했다. 하지만 가계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44.8%, 실물까지 포함한 총자산 대비로는 16.5%에 불과하다.

2015년 가계 연간 순금융투자 (운용-조달)는 99조6000억원에 이르며 가계의 현금흐름은 26조5000억원에 달한다.

소득 상위 계층이 전체 가계 순자산의 44%를 점유하고 있고 총부채의 47%를 보유하고 있다.

다만 저소득층과 저신용 및 다중채무 등 취약계층은 적자가 지속되고 있어 채무상환 위험은 여전히 높다.

전체 가계의 이자수지 (수입-비용)는 2006년 이후 연 1조원 수준의 적자가 유지되고 있다.

2006년과 2010년 금리인상 기간에도 적자폭은 유지됐다. 금융자산이 금융 부채 대비 두 배이고 가계의 순금융투자 등을 감안하면 금리상승에 따른 부채상환 악화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또한 실증분석 결과 가계소비는 소득의 크기, 부채의 증감에 정 (+)의 상관, 부채상환부담 대용지표인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 비율에 음(-)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부채의 급격한 감소보다 소득개선과 부채총량 유지를 통해 가계부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소득, 고신용 등 우량차주는 대부분 은행 등 1금융권에서 차입했다. 이에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24%, 연체잔액은 1.5조원에 불과하다.

문정희 KB증권 애널리스트는 “저소득, 저신용 등 취약차주는 저축은행이나 대부업 등에서 높은 금리로 차입했다”며 “취약차주 채무위험이 높아질 경우 저축은행 등으로 전이될 수 있으나 은행 등 1금융권으로 확산되지 않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본 정보(기사)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한 투자 참고용 자료로 NSP통신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SP통신/NSP TV 김태연 기자, ang1130@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