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주종 1250주년 기념... 우주의 맥을 울리는 종소리 ‘대공개’

NSP통신, 권민수 기자, 2021-02-03 10:23 KRD7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소리체험관 공개

성덕대왕신종 소리체험관, 디지털 음원... 신비스러운 소리, 대국민 서비스

NSP통신-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국립경주박물관)

(경북=NSP통신) 권민수 기자 = 국립경주박물관은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 주종 1250주년을 맞아 오는 8일 성덕대왕신종의 종소리를 활용한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 ‘성덕대왕신종 소리체험관’을 공개한다.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을 기리고자 시작한 신종 주조는 34년이 지난 혜공왕 7년(771년) 12월에 완성됐다. 통일신라시대 최고의 종으로 손꼽히는 성덕대왕신종이 올해로 완성 1250주년을 맞이하게 됐다.

이와 관련해 국립경주박물관은 올 한해 성덕대왕신종과 관련해 국민들과 함께 그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는 풍성하고 다양한 사업과 이벤트를 기획 중이며 설날을 맞이해‘성덕대왕신종 소리체험관’을 공개하는 것으로 그 첫 발을 내딛는다.

G03-9894841702

국립경주박물관이 지난 1년간 준비 작업을 거쳐 신라미술관에 새롭게 문을 열게 된 ‘성덕대왕신종 소리체험관’은 ‘시공간을 넘나들며 펼쳐지는 성덕대왕신종의 진정한 울림을 찾아 떠나는 여정’이란 주제를 현실감 있게 전달하기 위해 9.1채널 서라운드 스피커를 활용한 입체 음향 시스템을 몰입형 3D 사운드로 디자인했다.

그리고 3D프로젝션 맵핑과 엣지블렌딩 등 핵심기술과 총 7대의 초고화질 프로젝터를 활용하여 8K급 고화질의 입체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단순히 소리만이 아닌 온몸으로 성덕대왕신종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성덕대왕신종 체험관은 대사가 없는 비언어극의 형태로 펼쳐진다. 신종과 관련된 각종 기록과 설화를 바탕으로 종의 제작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전 세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했다.

특히 영상은 ‘먼 미래의 외계인’을 등장시켜 성덕대왕신종의 맑고 웅장한 소리, 맥놀이 현상의 신비와 경이로움을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보는 것과 같이 재미있고 함축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역사적인 상상력과 첨단 기술력이 만난 ‘성덕대왕신종 소리체험관’의 종소리는 2020년 10월 성덕대왕신종 보존 상태 점검을 위한 타음 조사 과정에서 녹음된 새로운 음원을 바탕으로 약 3개월에 걸친 노이즈 제거ㆍ편집 작업을 거쳐 완성됐다. 이 성덕대왕신종의 웅장하고 신비로운 소리는 설날을 맞이해 디지털음원의 형태로 대국민 서비스될 예정이다.

NSP통신-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소리체험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소리체험관. (국립경주박물관)

2020년 10월, 17년 만에 이루어진 성덕대왕신종의 타음 조사는 2022년까지 총 3차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지난 1차 타음 조사에서 측정된 고유 주파수, 맥놀이 시간 파형 등을 2001년~2003년 측정된 기존 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결과 성덕대왕신종 소리에 영향을 줄 정도의 구조적인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나아가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성덕대왕신종의 현재 상태를 보다 면밀히 점검해 향후 구체적인 성덕대왕신종의 활용 전략을 수립, 검토할 예정에 있다.

박물관은 또 전 세계인이 주목하는 문화유산인 성덕대왕신종의 안정적인 보존 환경과 전시ㆍ타종 공간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노출 전시 중인 성덕대왕신종의 부식 방지와 타종 시 관람 효과를 고려한 새로운 신종관의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새로운 신종관은 경주시의 춘양교지 종합정비계획과 연계해 대국민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최선주 국립경주박물관장은 “771년 완성된 성덕대왕신종이 올해로 1250주년을 맞이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이를 기념하는 일회성 사업이 아닌 전 세계인이 주목하는 성덕대왕신종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장기적 전략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실감형 콘텐츠의 적극적 활용과 전시, 조사와 연구, 환경 개선 등 성덕대왕신종과 관련한 박물관의 노력이 단순히 ‘보존’이 아닌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써의 ‘보전’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보 제29호.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고자 했으나 완성은 혜공왕 때인 771년에 이루어졌다. 이 종은 봉덕사에 달려있었지만 수해로 폐사된 뒤 영묘사에 옮겼다가 다시 봉황대에 종각을 짓고 보호했다. 1915년 8월에 종각과 함께 박물관으로 옮겼고 국립경주박물관이 신축 이전함에 따라 이 동종도 박물관 경내로 이전됐다.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종으로 제작 연대가 확실하고 각 부의 양식이 풍요롭고 화려하다. 상원사 동종(국보 제36호)과 함께 통일신라시대 범종을 대표한다. 일명 봉덕사종, 에밀레종이라 불리기도 한다.

NSP통신 권민수 기자 kwun5104@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